[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1980년대 후반 20%에 육박했던 노조 조직률이 지난해 10% 아래로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노동조합원 수는 164만3천113명으로 전년 대비 약 3천명(0.2%) 증가했지만 노조 조직대상인 임금근로자가 60만8천명 늘어 노조 조직률은 9.8%로 전년보다 0.3% 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조직대상 근로자 수를 전체 조합원 수로 나눈 백분률인 노조 조직률은 1989년 19.8%를 정점으로 계속 하향세를 보이다 지난해 처음으로 10% 이하로 떨어졌다.
노조 수는 산별노조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5.7%(269개) 감소한 4천420개로 집계됐다.
상급단체별로는 한국노총 소속 조합원이 72만8천649명으로 전체의 44.3%를 차지했고, 민주노총이 58만64명으로 35.3%의 점유율을 보였다. 상급단체에 가입하지 않은 노조의 조합원도 33만4천400명(20.4%)에 달했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조합원 수는 2009년에 비해 각 1만1천686명(1.6%), 8천330명(1.4%)이 감소했으나, 상급단체에 가입하지 않은 조합원 수는 2만2천795명(7.3%)이 증가해 2000년대 초반부터 이어져온 증가세를 유지했다.
상급단체별 노조 수는 한국노총 2천292개(51.8%), 민주노총 432개(9.8%), 미가맹 노조 1천696개(38.4%)로 나타났다.
부문별 조직률은 민간 부문 8.6%, 교원 18.9%, 공무원 58%로 나타나, 민간에 비해 공무원과 교원의 조직률이 높았다.
교원노조 조직률은 전교조 조합원 감소(7만1천명→6만6천명) 등으로 인해 전년에 비해 1.7%p 낮아졌으나, 공무원노조는 조직률이 1.2% 포인트 상승했다.
초기업 노조 소속 조합원은 전체의 54.1%(88만8천437명)로 나타났고, 민주노총은 초기업노조 소속 조합원이 전체 조합원의 79.5%(46만1천263명)에 달했다.
고용부 김성호 노사관계법제과장은 “노조조직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은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해 노조 조직화가 어려운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증가한데다 사용자측이 인적자원 관리를 적극적으로 하고 신규 인력들이 노조 가입을 회피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