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양준식 기자] 금융당국, 악재 공개前 주식매각 중점조사
내년 유럽 재정위기로 기업들의 사정이 좋지 않아 대주주나 경영진이 악재성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주식을 먼저 처분하는 부정행위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여 금융당국이 조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총선ㆍ대선을 이용한 정치인 테마 선동과 인터넷 증권방송 전문가의 시세조종 행위 등도 중점 조사 대상으로 꼽혔다.
금융감독원은 내년 대주주나 경영진이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손실을 줄이려는 시도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대한 조사를 강화하겠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상장기업의 손익구조가 악화해 감사의견거절, 상장폐지 등의 악재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올해 2월에는 한 상장사 대표가 외부감사에서 분식회계가 적발돼 감사의견거절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정보가 공개되기 전에 주식을 미리 팔아치워 2억원 이상의 부당이득을 챙겼다.
대규모 시설투자, 다른 회사 인수 등의 호재성 정보가 공개되기 전에 기업 내부자가 먼저 알고 주식을 사들이는 내부자 거래도 중점조사 대상이다.
금감원은 내년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앞두고 특정 정치인과 관련된 루머를 유포하거나 이를 이용해 시세조종에 나서는 행위도 강력히 단속하기로 했다.
올해 문재인 테마주, 박근혜 테마주, 박원순 테마주, 안철수 테마주 등 유력 정치인과 관련된 종목들이 각종 호재와 악재로 급등락해 주가조작에 활용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컸다.
인터넷 메신저 등을 활용한 허위 풍문 유포 행위나 인터넷 증권방송 전문가의 시세조종 행위에도 조사 역량이 집중된다.
사이버 애널리스트 중에는 인터넷 증권방송에 출연해 일반 투자자들에게 특정 종목을 사도록 권유해 가격을 올린 뒤 자신은 저가에 미리 사둔 주식을 팔아치우고 빠지는 행위가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전문 시세조종꾼이 대주주ㆍ경영진이나 사채업자와 결탁해 주가조작에 나서는 경우도 지속적으로 적발되고 있어 중점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금감원이 올해 검찰에 고발ㆍ통보한 불공정거래 행위는 152건이며 이중 시세조종이 47건, 미공개정보이용이 43건, 부정거래가 34건, 지분보고 위법 등이 28건이었다. 부정거래 행위는 작년(21건)보다 크게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