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대기업의 반대로 도입이 보류됐던 이익공유제 도입방안이 다시 동반성장위원회 본회의에 안건으로 상정된다.
16일 동반위에 따르면, 위원회는 17일 오전 7시 30분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열리는 본회의에 데스크톱PC 적합업종 선정 문제와 함께 창조적 이익공유제 도입방안을 안건으로 상정한다.
동반위는 지난달 13일 열린 본회의에도 이익공유제 도입방안을 안건으로 상정했었지만 대기업 측 대표들이 도입을 반대하며 본회의 참석을 모두 거부하자 도입을 미루고 대기업, 중소기업, 공익 대표 2명씩 6명과 정운찬 위원장 등 모두 7명으로 소위원회를 구성해 추가 심의한 뒤 차기 회의에서 결론내기로 했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개별 대기업들이 소위원회에 대표로 참석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해 소위원회가 구성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본회의에 상정됐던 안이 이번에도 그대로 올라올 것으로 보인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관계자는 소위원회를 구성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이익공유제 도입방안을 다시 본회의에 상정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중소기업을 대표하는 중소기업중앙회와 대기업을 대표하는 전경련, 대중소기업이 모두 포함된 대한상공회의소로 소위원회를 구성하자는 제안을 위원회에 한 상태"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본회의에도 대기업 측 위원들은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와 SK텔레콤, 현대중공업 등은 회사 내부 사정 등을 이유로 참석하지 못한다고 밝혔으며,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현대제철 등은 아직 참석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고 밝혔지만, 불참 쪽으로 기운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 관계자도 "대기업들이 참석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