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정부가 추진 중인 장시간 근로 개선을 중심으로 한 일자리 창출 정책에 대해 재계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날 오후 서초구 반포동 메리어트호텔에서 이채필 장관 주재로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경제단체 회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3차 민관일자리창출협의회를 가졌으며, 이 자리에서 이 장관은 장시간 근로 개선에 대해 강한 의지를 피력하며 재계의 협조를 요청했다.
이 장관은 "고용의 총량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고용의 질도 개선해야 한다"면서 "그런 면에서 장시간 근로 개선은 반드시 필요하고 이것이 정착되면 근로자, 기업, 국민 모두에게 유익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장시간 근로 개선책의 일환으로 휴일근로의 연장근로 한도 포함, 근로시간 특례업종 축소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힌 이 장관은 "경제단체에서도 찬반 논란이 아니라 장시간 근로 개선의 해법 찾기에 함께 나서 달라"고 주문했다.
이 장관은 이어 "고용사정이 어렵지만 이럴 때일수록 우수한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면서 "정부도 조세, 금융, 산업, 조달 등 각종 우대 지원제도를 적극 발굴해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경제단체장들은 정부의 장시간 근로 개선 정책에 대해 공감을 표하면서도 성급하게 정책이 추진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장시간 근로 개선에 찬성하며 기업의 연장 근로 관행도 개선돼야 한다"면서 "비정규직 근로자 처우도 나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희범 경총 회장은 "장시간 근로 개선은 기업과 근로자 사이에 서도 의견이 다른 상황"이라며 "노동 생산성과 유연성, 임금 수준 등을 감안해 단계적으로 당사자를 설득하는 것이 순서다. 너무 성급하게 정부가 일방적으로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 장관은 "장시간 근로 개선은 사업장 규모와 특성을 감안해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설명하고 "중기 특성을 반영해 연장근로한도의 과도기적 조정 방안을 검토하고 근로시간 조정에 따라 어려움을 겪는 기업 및 근로자에 대한 지원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