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지난 10년 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중소기업의 임금수준은 대기업의 63%에 그쳤다.
6일 고용노동부의 사업체 규모별 임금총액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1∼11월) 중소기업(5∼299인) 상용직 근로자의 월 평균임금은 263만8천원, 300인 이상 대기업 상용직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월 417만5천원으로, 대기업을 100으로 봤을 때 중소기업의 상대임금 수준은 63.2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중소기업의 상대 임금수준 격차는 2000년대 들어 계속해서 벌어지고 있어 중소기업 취업 기피가 더 심각해질 것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2000년 중소기업 상용직 근로자 평균임금은 153만원, 대기업은 214만7천원으로 상대임금 수준이 70(71.3)을 넘었지만 2001년 70.9에서 2002년 67.5로 하락하며 70선 아래로 떨어진 뒤 2003년 65.8, 2004년 64, 2005년 64.3, 2006년 65.4, 2007년 64.8, 2008년 63.6, 2009년 65, 2010년 62.9 등으로 계속해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만 해도 대기업의 70% 수준이던 중소기업의 임금이 최근에는 60% 초반대로 떨어진 셈이다.
지난해는 2010년에 비해 소폭(0.3) 오르기는 했지만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이 같은 대기업-중소기업 임금격차 확대는 최근 우리 경제의 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 감소와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낙수효과란 대기업 수출이 호황을 보이면 국내 투자와 고용이 확대되고 중소기업에 대한 하청 발주도 늘어나는 등 그 효과가 국내 경제 전반에 골고루 퍼지는 것을 말하는데, 그 효과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LG경제연구원 윤상하 책임연구원은 "대ㆍ중소기업 임금격차 확대는 대기업 집단의 실적은 수출 호조 등으로 계속 활황을 보이고 있지만 중소기업이나 내수에까지 그 혜택이 돌아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