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8일 유가가 현재 수준이면 물가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 총재는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3.25%로 동결한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국제유가는 소비자물가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며 "두바이유가 배럴당 150달러까지 오르면 소비자물가는 0.5%포인트 높아지고 성장률은 0.5%포인트 낮아진다"고 전망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전문가들보다 일반 국민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은데 이는 생활물가가 크게 오른 영향이 크다"며 "유통구조 개선, 수입 등을 통해 체감물가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또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위기를 불러올 정도로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
그는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위기를 불러오지는 않을 것"이라며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준금리라는 `큰 칼'을 쓸지는 깊이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소득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DSR)이 높은 과다채무 가구 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며 "미시적 해결책을 우선 강구한 뒤 다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명목성장률보다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빠른지를 우선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재는 또 "기준금리 동결 결정은 만장일치였다"고 밝히고 "브라질을 비롯해 최근 3∼4개 국가가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금리 수준 등에서 우리나라와 외국의 상황은 다르다"고 밝혔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전날 기준금리를 10.5%에서 9.75%로 인하했다.
그는 "1∼2월에 80억달러 이상 외화자금이 국내 시장에 들어왔는데 이 가운데 60%가 유럽자금이며 상당부분이 단기성 자금일 것"이라며 "단기성 자금의 국내 유입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출](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3872/image.jpg?w=60&h=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