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SK하이닉스, 일본 엘피다 인수 추진

[재경일보 김윤식 기자] SK하이닉스가 세계 3위의 D램 반도체 생산업체인 일본의 엘피다 인수를 추진한다.

시장조사기관인 아이서플라이에 따르면, 엘피다의 지난해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은 13.1% 수준이어서 점유율 2위인 SK하이닉스의 23.0%와 합하면 36%대로 1위인 삼성전자의 42.2%에 근접하게 된다.

SK하이닉스는 30일 한국거래소의 엘피다 인수설에 대한 조회공시 요구에 대해 "오늘 엘피다에 1차 입찰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답변했다.

SK하이닉스는 한 관계자는 "회사의 경쟁력 향상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려고 이번 인수에 참여하게 됐다"면서 "엘피다의 회생 가능성과 통합으로 인한 시너지 등에 대해 면밀히 검토한 후 최종 입찰 참여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하이닉스 외에 입찰제안서를 낸 곳은 미국의 마이크론테크놀로지와 일본의 도시바로 알려져 엘피다 인수를 놓고 3파전을 벌이게 됐다.

엘피다는 실적부진에 따른 재무구조 악화와 자금난으로 지난달 27일 도쿄지방법원에 파산 보호(법정관리)를 신청한 상태다.

갚아야 할 총 부채 규모는 일본 내 제조업체 파산 규모로는 사상 최대인 4천480억엔(한화 6조2천억원)으로 전해졌다.

엘피다는 오는 3월 말~4월 초까지 일본 산업활력 재생법 지원금을 포함한 약 900억엔(약 1조2천억원) 규모의 차입금 상환 만기가 도래해 각종 채무를 상환해야 하지만 D램 가격이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엔고가 겹쳐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2010년 4분기 이후 5개 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 재무구조가 악화돼 심각한 재정압박에 시달려왔다.

또 올 한해만 3조원이 넘는 상환 의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엘피다는 그동안 자금난을 타개하기 위해 정부에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4,5위 업체인 미국의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대만의 난야와 경영통합을 통해 다국적 연합군을 만들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에 대항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지만 마이크론 CEO가 비행기 사고로 떠나는 등 악재가 계속되면서 교섭에 난항이 계속됐다.

엘피다는 그동안 자금난을 타개하기 위해 정부에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하고 채권단에 도움을 요청하는 한편 4,5위 업체인 미국의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대만의 난야와 경영통합을 통해 다국적 연합군을 만들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에 대항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지만 최근 마이크론 CEO가 비행기 사고로 떠나는 등 악재가 계속되면서 교섭에 난항이 계속됐다.

이런 상황에서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이 500억 정도에 불과해 4월 이후 차입금을 갚을 자금 조달의 방안이 보이지 않자 엘피다는 자력에 의한 경영정상화를 포기하고 결국 파산보호신청을 했었다.

엘피다는 10여년 전 NEC, 히타치, 미쓰비시 3개사가 통합해 설립한 일본 유일의 D램 업체다.

히로시마 팹과 대만의 렉스칩을 통해 월 20만장 규모의 D램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 D램 시장에서 한국의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반도체에 밀리며 고전을 면치 못했었다.

엘피다는 내달 정밀 실사에 이은 본계약을 거쳐 이르면 5월 매각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을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