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美 NAD, LG전자 겨냥한 삼성전자 3D TV 비교광고 중단 권고

[재경일보 김윤식 기자] 삼성전자가 경쟁사인 LG전자를 겨냥해 미국시장에서 내보낸 3D TV 비교광고에 대해 광고 중단을 권고받았다.

미국의 광고 자율 심의기구인 전국광고부(NAD:National Advertising Division)는 5일(현지시간) 자사의 셔터글라스 방식(액티브 3D)이 편광방식(패시브 3D) TV보다 우월하다는 내용의 삼성전자 3D TV 광고를 중단하도록 결정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지난해 10월 NAD에 삼성전자의 광고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3D TV에 셔터글라스 방식을, LG전자는 편광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NAD는 삼성전자의 광고 가운데 '셔터글라스 방식이 편광방식보다 해상도가 뛰어나다'는 부분에 대해서 "기술적으로는 인정된다 하더라도 일반 소비자가 구별하기에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편광방식 TV에는 울퉁불퉁한 경계선(Jagged Line)이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근거가 없다"며 사용하지 말 것을 권했다.

NAD는 이 밖에 '셔터글라스 방식이 편광 방식보다 2배 뛰어나다', '삼성전자 TV는 편광방식보다 40% 더 밝고 더 적은 전력을 소비한다', ' 편광방식 TV의 2D화면은 화질이 흐리고 어둡다' 등의 내용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하지만 셔터글라스 방식 TV의 수직 시야각이 편광방식 TV에 비해 좋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삼성전자의 주장이 맞다고 판단했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NAD의 이번 결정에 대해 "액티브 3D 기술이 패시브 방식보다 더 뛰어난 화질을 제공한다는 것을 기술적으로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NAD가 이런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 유감"이라면서도 "권고사항은 준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의 한 관계자는 "이번 NAD의 결정을 계기로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공정한 경쟁을 통해 한국기업들이 글로벌 3D TV 시장을 선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