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글로벌 금융위기 차단을 위한 국제통화기금(IMF)의 재원 확충을 위해 우리나라가 150억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에 앞서 영국, 호주, 싱가포르 등과 IMF 재원 확충안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들 4개국 재무장관들이 이날 발표한 공동선언문에 따르면, 우리나라와 영국이 각각 150억달러 규모로 IMF 재원확충에 참여하기로 했다.
이는 최근 재정위기 우려가 커지고 있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2천억달러, 일본의 600억달러에 이어 세 번째 지원 규모다.
호주와 싱가포르도 각각 70억달러와 40억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
4개국 재무장관들은 이날 발표한 공동선언문에서 "IMF는 우리 모두가 혜택을 받는 세계경제의 안정에 핵심적인 구실을 한다"면서 "확충된 재원은 모든 회원국에 이익이 되는 IMF의 대출능력을 확충시킬 것이다. 다만, 재원을 쓸 때는 충실히 설계된 IMF 프로그램으로 위험완화 조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우리나라의 IMF 재원 확충 참여에 대해 "우리나라는 지난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에는 구제금융을 받았는데 이제는 글로벌 위기 해결에 주축을 맡아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는 출자나 출연이 아닌 IMF와 양자협정에 의한 융자 형태로 외화보유액 중 150억달러를 지원하며 이 금액은 모두 외화보유액으로 인정된다.
지난 2009년 런던정상회의 이후 IMF와 회원국간 양자차입 당시 최대 150억 특별인출권(SDR)(약 230억달러)이 외화보유액으로 인정됐다. 양자차입은 IMF와 회원국들이 차입 또는 채권매입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다.
IMF가 이번 양자차입 계약에서는 보유액 인정 범위를 높일 계획이라서 외화보유액 운영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기재부는 내다봤다.
박 장관은 "G20 회원국들이 합심해서 IMF 재원확충 합의를 이끌어낸 데 부응해 유럽지역도 역내 시장안정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특히 유럽재정안정기금(EFSF)과 유로안정화기구(ESM)의 확충 계획이 충실히 이행되고, 유로존 불균형 등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