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가계부채 수준이 소비를 위축시키는 임계치에 근접했으며, 이자상환 비율은 임계치인 2.51%를 넘은 2.72%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경기가 소비위축은 물론 내수기업의 실적 악화로 이어지는 경기침체의 변동고리에 이미 접어들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우려를 낳고 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부채경제학과 한국의 가계 및 정부 부채'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수준이 소비를 위축시키는 임계치에 근접해 있다.
이에 따라 경제체질을 약화시켜 대내외 충격발생시 경기 급변동이나 장기 경기침체를 초래하는 위험요소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또 이자상환비율은 2.72%로 집계됐다. 이자상환비율은 이미 지난 2009년 3분기부터 임계치인 2.51%를 넘어선 상태다.
이는 가계 빚과 이자상환 부담으로 인해 소비가 위축되는 단계에 와 있다는 뜻이다.
한은은 앞으로도 가계 빚 증가세가 계속해서 이어진다면 `빚 부담 가중→내수 위축→소득 축소→빚 부담 증가`의 악순환으로 실물경제가 위축되고, 외부충격에도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또 빚이 누적된 상황에서 부정적인 충격이 발생하면 소비가 즉시 영향을 받아 소비의 경기 안정화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은은 또 인구구조 변화 등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도 주택값 하락과 재정건전성 악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외생적 충격까지 발생한다면 가계 빚 문제가 경제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