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민주 6·9전당대회, 모바일·현장 `이중투표' 논란… 모바일투표 자랑하더니

[재경일보 고명훈 기자] 민주통합당 6ㆍ9 전당대회에서 일부 유권자가 모바일투표와 현장투표를 모두 실시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당은 이중투표 논란이 단순한 실무 착오라고 해명하고 나섰지만, 이중투표를 한 유권자가 A씨 한명이라는 보장이 없어 공정성 논란이 불가피하게 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선거에서는 이해찬 대표와 김한길 최고위원의 총득표수 차이는 1천471표(0.5% 포인트)에 불과할 정도로 박빙의 승부가 진행돼 선거 결과를 놓고도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모바일투표 도입을 최대 자랑으로 내세워 왔지만, 지난 19대 총선 후보자 경선 과정에 이어 이번 전대에서도 또다시 문제점이 드러나 모바일투표의 신뢰성에 심대한 타격을 입게 됐다.

12일 민주통합당 등에 따르면, 친노(친노무현) 성향이 강한 국민의명령 백만민란 소속으로 알려진 당원 A씨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당비납부 당원) 자격으로 모바일투표에 참여했지만 9일 일산 킨텍스 전당대회 현장에서 당에서 새로 도입한 정책대의원 자격으로 또다시 한표를 행사해 이중투표를 했다.

이번 전대에서는 대의원투표가 30%, 권리당원과 당원, 시민선거인단의 모바일 및 현장투표가 70% 반영됐는데, 한국노총과 국민의명령 백만민란, 내가꿈꾸는나라 등의 시민사회단체 인사 2천600여명으로 구성돼 있는 정책대의원은 권리당원을 겸할 수 없다.

논란이 불거지자 당은 이날 급히 기자회견을 열었다.

강정구 사무부총장은 "각 조직에서 정책대의원 신청자를 보내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컴퓨터에 같이 넣어 중복자를 가려냈다"며 "A씨는 주민번호 끝에 두자리가 다르게 기재돼 중복자로 나오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강 부총장은 "본인이 두번 투표했다고 증언하고 있으니 그럴 확률이 있다"며 "그러나 지금까지 다른 사례가 발견된 건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A씨의 과실인지 실무자 오류인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컴퓨터에 넣어도 나오지 않는 걸 어떻게 하나"라며 "선거인단 중에 계속 기록을 보관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은 분에 대해서는 파기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