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통합진보 진상조사 특위 "비례대표 경선, 부정 방조한 총체적 부실 선거"

[재경일보 고명훈 기자] 통합진보당의 4·11 비례대표 경선 부정의혹에 대한 2차 진상조사 특별위원회는 26일 2차 진상조사 결과에 대해 "19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경선은 선거관리에서부터 현장투표, 온라인투표까지 부정을 방조한 부실 선거"라고 발표했다.

진상조사 특위는 이날 오후 7시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비례대표 경선에서 선거의 절차와 원칙이 심각하게 훼손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특위는 먼저 선거관리에 대해 "인터넷투표에서 일부 당직자에게 미투표 현황 정보가 독점돼 특정 후보에게 활용된 정황이 있다"며 "관리자에게 권한을 부여한 절차가 불투명해 부정한 정보 이용의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 "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알고 있었던 사람들이 전체 미투표자들을 추출하거나 수시로 투표 여부를 체크해 투표 진행상황에 대한 부정취득이 행해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장투표소가 원칙 없이 설치돼 선거관리의 기본이 지켜지지 않았다"며 "심지어 선거인 명부에 투표자로 기재된 자가 실제로 투표했는지 여부를 믿기 어려운 정도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현장투표에 대해서는 "투표담당자의 선임, 투·개표록의 작성, 이중투표 확인, 선거인명부와 투표함의 관리, 지정된 투표용구의 사용 등 투명하고 공정한 선거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 훼손됐다"면서 "실제로 투표자 수와 투표용지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선거인명부의 투표자 이름을 지우는 등 이중투표와 대리투표와 같은 부정사례가 다수 발견됐다"고 밝혔다.

또 "현장투표에서 확인된 이중투표와 대리투표를 포함한 지역을 무효화하면 전체의 32.4%에 이른다"며 "수사권의 한계로, 선거인 명부 서명이 조작된 대리투표의 정황은 있으나 유효한 투표의 서명을 검증할 방법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온라인투표에 대해선 "투표현황 정보에 대한 보안의식과 투표시스템 관리에 대한 운영 및 보안규정이 부재했고, 선관위원이 아닌 당직자가 미투표 현황을 수시로 열람했다"며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선거과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고 레벨의 관리자 아이디의 경우 많은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서 보안관리가 철저해야 했는데도 많은 관리자 아이디를 생성하고 외부에서 사용한 정황이 발견됐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선거인명부 서명이 조작된 대리투표의 정황도 있다"며 "대리서명, 대리투표 의혹이 제기되는 투표소는 대부분 특정 후보가 100% 또는 압도적인 지지를 받는 곳"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구당권파는 특위가 내놓은 조사 결과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이석기·김재연 의원의 사퇴를 비롯한 후속 대책을 놓고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