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유럽 재정위기가 다시 고조된 영향으로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2%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상반기 2%대 성장에 그친 데 이어 하반기도 대니외 경기 악화가 예상보다 심각해 정부의 '상저하고' 경제전망과 달리 '상저하저'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라서 반등이 쉽지 않아 보인다.
정부와 글로벌 투자은행(IB)들도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낮추고 있다.
우선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 대상국인 중국의 경기 악화가 우리 경제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중국의 올해 2분기 성장률은 7.6%로, 3년 만에 처음으로 7%대로 떨어졌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의 올해 성장률을 8%로 전망하면서 '경착륙' 가능성을 경고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우리나라의 성장률이 0.4%포인트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중국이 경착륙을 할 경우 우리 경제도 큰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다.
미국의 경기가 악화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IMF는 이달 초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2.0%로 낮췄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미국의 올해 성장률을 지난 4월 최대 2.9%에서 지난달 2.4%로 크게 내렸다.
세계경제의 양대축인 중국과 미국의 경기가 동반 부진에 빠진 것은 재부각된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것이다.
유럽 재정위기는 올해 초만 해도 유럽중앙은행(ECB)의 장기대출프로그램(LTRO)과 같은 정책 대응으로 완화되는 듯 했으나 최근 스페인의 전면적 구제금융 신청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위기감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여기에다 그리스가 9월에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할 것이라는 9월 위기설에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이탈 가능성까지 다시 언급되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심창목 수석연구원은 "유럽 재정위기는 한국 경제에도 가장 큰 위험 요인이다. 신흥시장 경기 부진은 유로존 위기와 맞물려 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다 한국 경제의 시한폭탄으로 떠오른 가계부채를 비롯한 국내 경제 문제도 무시 못할 악재다. 가계부채는 소비를 위축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란 핵시설을 둘러싼 긴장이 여전한데다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유가 하락을 막고자 감산에 나설 가능성도 없지 않아 국제유가가 급등해 물가를 올리고 기업의 비용 부담을 가중시킬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