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고난의 행군’ 이후 산림도 황폐”

북 산림분야 근무 탈북자 산림청 특강서 밝혀

 


지난 1980년대까지만 해도 비교적 울창했던 북한 산림이 1990년대 중후반 일명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부터 급격하게 황폐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또 지금까지도 극심한 산림훼손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탈북자의 증언을 통해 직접 확인됐다. 95년에서 97년의 대규모 아사자 속출 이후 급격한 산지개간이 이뤄지고 많은 산지가 화전으로 변하는 바람에 나무가 사라졌고, 지금도 산림복구가 어려운 실정이라는 것.


지난 9일 오후 정부대전청사 소회의실에서 있었던 특강에서 북한이탈주민 강 모씨가 이 같이 밝혔다. 강 씨의 이번 특강은 그동안 위성영상과 국제기구 발표 등에 의존했던 북한 산림현황과 황폐화 실상을 북한 이탈주민에게 직접 확인해보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함경북도에서 산림 분야 일꾼으로 근무했던 강 씨는 이날 산림청 관계자와 서울대·충남대 등의 산림연구자, 통일부 관계 인사 등 50여 명에게 자신이 체험했던 북한 산림의 현실과 함경북도의 산림현황, 양묘와 조림 등의 산림사업 경험 등을 설명했다.


강 씨는 이날 특강에서 “80년대 말까지만 해도 야산에 나무가 많았고 주민들이 산에 들어갈 일이 없었지만 사회주의 공급체계가 마비된 후 주민이 산에서 땔감을 얻고, 산을 개간해 식량 문제를 해결하려 했기 때문에 높은 산 꼭대기까지 개간하지 않은 산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은 2001년 국가 단위의 산림조사를 실시해 경사도 25도 미만의 개간산지는 국가토지(협동농장)로 편입했고 주민들은 자신이 개간한 산지가 편입되지 않도록 하려고 뇌물을 주는 경우도 있었다”고 전했다.


한편 북한은 3월에서 5월을 식수기간으로 정하고 대대적으로 주민을 동원해 매년 10만ha 나무심기를 한다고 선전하고 있으나, 지력감퇴와 주민의 무성의로 묘목활착률은 30%가 안 돼 산림복구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산림청은 지난 2008년 위성영상을 분석해 “북한산림 899만ha 중 284만ha가 황폐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999년 조사결과보다 산림면적은 17만ha 줄었고 황폐지면적은 121만ha가 늘어난 수치”라고 발표한 바 있다.


산림청은 또 2009년 통일부, 농림부 등과 함께 북한 산림복구를 포함한 남북산림협력기본계획을 수립했지만 5.24 조치 등 남북관계 단절로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서범석 기자 seo@imwood.co.kr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