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군인권센터 "훈련병 사망책임 장군 파면해야" 국회 청원

[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한 시민단체가 지난해 잇따른 훈련병 사망 사고의 책임을 물어 당시 훈련소장을 맡았던 육군 장군이 사고 후에도 승진하는 등 승승장구하고 있다며 파면을 요구하는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10일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2~4월 이모(이하 당시 나이 21세), 정모(21), 노모(23) 훈련병이 충남 논산 육군훈련소에서 폐렴, 자살, 뇌수막염 등으로 사망했지만 당시 훈련소장이던 박모(55) 소장은 사고 직후인 지난해 5월 육군 최고 요직 가운데 하나로 평가되는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으로 영전했고 이후 지난 7월 자리를 옮겨 현재 '2015년 경북 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에 대해 군인권센터 임태훈 소장은 "건강하게 입대한 훈련병들이 군 내부의 억압적 분위기와 허술한 의료 체계로 젊은 생을 마감했는데도 훈련소 최고 책임자였던 박 소장은 지금도 승승장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군인권센터는 박 소장이 조직위원장 자격으로 대회를 준비하며 쌓은 지역 인맥을 동원해 앞으로 경북 문경을 기반으로 정치권 진출을 모색할 것이라는 일각의 관측도 전했다.

군인권센터는 조만간 뜻을 같이하는 국회의원의 소개를 받아 박 소장 파면 및 군인 건강권 실태조사를 위한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며 현재 인터넷(http://ka.do/q)에서 박 소장 파면을 촉구하는 서명운동도 벌이고 있다.

육군본부 관계자는 이같은 시민단체의 움직임에 대해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을 지내면 대부분 바로 승진해 군단장이 되지만 박 소장은 훌륭한 성품과 뛰어난 업무능력에도 예외적으로 승진도 못 한 채 한직으로 자리를 옮겼다"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사망한 훈련병들을 생각하면 정말 안타깝지만 사고의 모든 책임을 최고 지휘관에게만 물을 수 없는 것 아니냐"며 "특히 박 소장이 현재 경력을 바탕으로 정치권 문을 두드릴 것이라는 주장은 소설 같은 얘기"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