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진수 기자] 단군 이래 최대 규모 개발사업이라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용산역세권개발사업)이 최대 주주 코레일과 2대 주주 롯데관광개발의 내부 갈등으로 좌초 위기에 처했다.
26일 사업 시행자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이하 드림허브) 등에 따르면, 드림허브는 토지오염정화공사비 271억원과 기본설계비 496억원 등 총 1000억원에 이르는 대금을 지급하지 못해 사업이 현재 중단된 상태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것은 드림허브의 1,2대 주주인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이 갈등을 빚으며 자본금 확충에 실패한 탓이다.
드림허브는 25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해 우선 급한 불을 끌 계획이었다.
CB를 발행하면 코레일이 선매입한 랜드마크 빌딩의 2차 계약금 4160억원을 드림허브에 납입하기로 돼 있어 실제 확보할 수 있는 자금은 6660억원에 이르러 밀린 토지오염 정화공사비와 기본설계비를 지급하고 추가로 나머지 설계용역을 발주하기에 충분한 금액이다.
그러나 문제는 CB 발행 조건을 놓고 코레일과 롯데개발측의 이견이 전혀 좁혀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코레일은 기존 주주들에게 CB를 배정하는 방식의 발행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 롯데관광은 향후 발주할 건설공사의 시공권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외부 건설 투자사들에 CB를 배정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지난 17일 드림허브 이사회에서 또다시 CB 발행 의안 타결이 무산된 가운데 아직까지 차기 이사회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어 해결은 요원한 상태다.
또 현재 1조4000억원인 드림허브 자본금을 향후 증액할 수 있도록 정관상 최대 자본금을 3조원으로 늘리는 방안도 합의점을 찾지 못해 양측의 갈등이 더 깊어지고 있다.
앞으로 국내외 투자자를 유치하려면 자본금이 늘어날 수 있는 여지를 둬야 한다는 게 코레일 주장이지만 롯데관광은 자사 지분율이 떨어질 것을 우려해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코레일이 드림허브의 위탁을 받아 설계, 발주, 보상, 분양 등의 각종 개발 실무를 대행하는 용산역세권개발㈜의 경영권을 가져오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코레일은 과거 삼성물산이 롯데관광에 내놓은 용산역세권개발㈜ 지분 45.1%를 인수해 직접 경영을 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이 경우 용산역세권개발㈜이 공기업인 코레일의 자회사로 편입돼 각종 규제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양측이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보이지 않고 여전히 주도권 쟁탈에 골몰하는 가운데 연말께 남은 자본금마저 싹 소진될 예정이어서 파국이 멀지 않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맨 처음 1조원으로 시작한 드림허브의 자본금은 현재 436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12월 중순 용산역세권 부지에 부지에 부과될 종합부동산세와 금융이자, 소송 제기를 예고한 해외 건축회사 용역비를 합치면 남은 드림허브 자본금보다 많아 최악의 경우 파산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부동산 침체가 심각해 원래 계획으로는 사업성이 거의 없는 지경인데 설상가상으로 1,2대 주주가 자기 목소리만 높이고 있어 당분간 사업이 본궤도에 올라서기 어려워 보인다"고 내다봤다.
![대출](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3872/image.jpg?w=60&h=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