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정부 자동차 연비 관리 강화 방침에 자동차업계 '긴장'

정부가 최근 미국에서 현대기아차 연비 오류 파동이 일면서 제작사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국내에서도 양산차의 연비를 무조건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20일 공인 연비 측정 기준을 강화하고 측정 결과를 공개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자동차 업계는 개선된 방안에 맞추어 연비 측정 및 관리를 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놓았지만 긴장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그 동안 양산차 연비가 오차 허용범위(-5%)를 벗어날 때만 모델명과 수치를 공개하고 시정 조치를 내려왔지만 내년 하반기부터는 양산차 연비를 측정해 공개한다는 내용의 자동차 연비 관리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개선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또 각 자동차 제조사가 자체적으로 측정하는 연비의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연비 오차 허용 범위를 기존 -5%에서 -3%로 축소하기로 했으며, 양산 후 연비 측정 모델 수를 시판 모델 수 대비 10%까지 늘리기로 했다. 현재 사후 측정률은 3~4%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제작사가 자체적으로 측정하는 연비의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주행저항 시험을 도입하기로 했다.

주행저항시험은 차량의 공기저항 등을 산출하기 위해 시속 130km까지 가속한 뒤 무동력으로 감속해 정지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정부가 이번에 연비 관리제도 손질에 나선 것은 현대·기아차 북미 연비 오류 사태로 국내 연비 측정과 관리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현대·기아차 한 관계자는 "개선된 방안에 맞게 연비 측정과 관리를 성실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공인 연비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커진 가운데 정부까지 연비 관리 제도를 강화하자 완성차·수입차 업계 모두 부담감을 느끼는 분위기다.

국산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제도가 바뀌면 모든 업체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특정 업체만 곤란한 일은 아니다"라면서도 "연비에 사회적 관심이 쏠려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내년부터는 기존 연비보다 10~20%가량 낮아지는 새로운 복합 연비 제도가 전면 시행되는 터라 업계는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한 수입차 업체 관계자는 "연비는 규정에 맞춰 정부가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측정하는 것이므로 각 브랜드가 고의로 더 높은 수치를 내놓기는 어렵다"며 "연비 제도 강화는 모든 업체에 부담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실제 연비가 공인 연비에 가까워지도록 업체의 자체 측정과 정부의 관리가 더 철저해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기준을 강화함으로써 공인 연비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앞으로 연비 측정 시 가혹 조건을 높이고 사후 연비 측정 차종을 늘리는 등 연비 신뢰도를 높이는 노력이 계속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