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은 "농협·수협·기업은행 유동성리스크 금융위기 수준"

[재경일보 이형석 기자] 농협·수협·기업은행의 유동성 리스크가 글로벌 금융위기인 2008~2009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이 금융위기 이후 리스크가 꾸준히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는 대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특수목적은행이어서 실질 리스크는 크지 않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신현길·김자혜 한은 금융규제팀 과장은 8일 국내은행의 유동성 리스크를 진단하기 위한 `유동성 불일치 지표(LMI·Liquidity Mismatch Index)를 활용한 국내은행의 유동성 리스크 평가' 보고서에서 농협, 수협, 기업은행 등 특수은행의 LMI가 금융위기 당시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LMI란 은행의 부채유동성 지수와 자산유동성 지수의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은행의 자산과 부채 간 유동성 불일치 정도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다. 부채(자금조달)의 안정성이 낮고 자산의 현금화 가능성이 낮을 수록 LMI는 커지는데, LMI가 커질수록 은행이 빌린 부채는 빨리 갚아야 하는데 막상 은행이 다른 곳에 빌려준 자산은 빨리 회수를 하지 못하는 위기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커진다.

신 과장은 국내은행의 LMI가 200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하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최고수준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이 기간 은행 예금이 줄고 시장성 수신 비중이 증가하며 부채 유동성이 커진 반면 유동성이 떨어지는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자산이 늘어 자산 유동성은 악화했다.

신 과장은 "금융위기 이후 예대율 규제 시행과 함께 앞으로 단기유동성 비율(LCR) 규제가 도입될 예정이어서 LMI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그러나 당분간 유동성 불일치가 크게 확대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금융위기 이후 LMI는 점차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농협, 수협, 기업은행 등 특수은행은 LMI가 금융위기 당시의 높은 수준이 이어지고 있다.

신 과장은 이에 대해 "특수은행들이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잔존만기 1년 이내의 은행채와 기업예금을 크게 늘린 까닭"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들이 정부 시책에 의한 특수 목적 은행인 만큼 실질적인 유동성 리스크가 크다 볼 순 없다고 덧붙였다.

신 과장은 "LMI는 은행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나 은행의 결합(동반)부도확률을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지표를 은행의 잠재 유동성 리스크를 모니터링하는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