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작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과 세계경제 성장률의 격차가 외환위기 때인 지난 1998년 이후 가장 크게 벌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또 과거 10년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8차례나 세계 경제성장률을 밑돈 데다 향후 4% 이상 성장률도 기대하기 힘들어 저성장 고착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9일 기획재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연도별 국내 및 세계 경제성장률을 분석한 결과, 작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는 2.1%(기재부 추정)로 IMF가 전망한 세계경제 성장률 3.3%보다 1.2%포인트 낮아 지난 1998년 외환위기 당시의 8.3%포인트 격차에 이어 14년 만에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98년 우리나라 GDP 증가율은 -5.7%로 추락하면서 세계경제 성장률(2.6%)보다 8.3%포인트 낮았었다.
또 작년 GDP 성장률은 절대 수치로도 글로벌 금융위기 때였던 2009년(0.3%)을 제외하고 외환위기 때 이후 가장 낮았다.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은 올해도 3.0%으로 전망, IMF가 내놓은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3.6%)보다 0.6% 낮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외환위기가 극복된 뒤 노무현 정부(2003∼2007)와 이명박 정부(2008∼2012) 10년 동안 우리나라의 GDP 증가율이 세계경제 성장률보다 높았던 것은 2009년과 2010년 단 두 차례 뿐이었다.
이는 우리 경제가 완전한 저성장 기조에 진입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 4%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것도 어려울 것으로 보여 저성장이 고착화될 것으로 보인다.
신세돈 숙명여대 교수는 "우리나라 경제가 본격적인 저성장 시대에 진입한 만큼 앞으로도 4% 이상 성장률을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출](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3872/image.jpg?w=60&h=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