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레이스가 16일 본격적인 막을 올렸다.
당의 대선 후보 자리를 둘러싼 12일간의 3파전 경쟁이 어떻게 펼쳐질지 이목이 쏠린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민주당은 이날부터 경선 첫 일정으로 나흘간 당원 대상 충청권 온라인 투표를 진행한다. 이를 시작으로 4개 권역별 순회 경선이 이어지게 되며 영남과 호남을 거쳐 마지막 수도권 경선일인 오는 27일 최종 승자가 확정된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기호순)는 이날 후보 등록 후 처음 한자리에 모여 단합된 모습으로 공정한 경쟁에 임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이 전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공명선거 실천단 서약식에서 "이번 대선은 후보가 누가 되든 반드시 이겨야 한다. 역사적 책임"이라며 "경선이 배제의 과정이 아니라 함께하는 역량을 더 키우는 과정이 되도록 저 자신부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수 전 지사는 "역사적으로 민주당은 하나가 됐을 때 승리했고 분열했을 때 패배했다"며 "경선 후에는 결과에 깨끗이 승복하고 자기 선거처럼 대선을 치르는 민주 정당의 문화와 관행을 정착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동연 지사도 "치열하게 경쟁하고 또 통 크게 단합해서 정권 교체, 그 이상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들은 선거 운동 과정에서 후보자 비방, 흑색선전, 인신공격, 허위 사실 공표 등을 하지 않을 것과 깨끗하고 치열한 경쟁, 경선 결과 승복 등을 약속하는 서약서에 차례로 서명했다.
당 지도부 역시 '네거티브' 없는 '품위 있는 경쟁'을 당부했다.

박찬대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 계신 세 분의 후보들이 대한민국의 미래와 국민의 삶을 위해 치열하면서도 품위 있는 승부를 펼쳐달라"고 당부했다.
박범계 중앙당 선관위원장은 "상대 후보의 흠결을 들춰내기보다는 본인의 역량과 정책의 강점을 잘 알리는 데 힘써줄 것으로 믿는다"며 "모두가 함께 승리하는 단합된 경선, 이기는 경선에 헌신해달라"고 요청했다.
이같이 민주당이 레이스 시작부터 단합을 강조하는 데에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후보 간 과도한 경쟁이 벌어지며 내부 분열로 이어졌고, 결국 대선 석패로 이어졌다는 문제 인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1년 펼쳐진 대선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와 이낙연 전 대표는 '명낙대전'으로 불릴 만큼의 치열한 경선을 펼쳤다.
당시 이낙연 전 대표 측은 선두 주자였던 이재명 후보 측을 향해 대장동 개발 의혹 등을 거세게 제기했고, 이 후보 측이 적극 반박하며 경선판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결과적으로 경선은 흥행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이 과정에서 생긴 양측의 깊은 갈등의 골은 대선 본선에서도 봉합되지 못했고 결국 대선 패배에 이은 이낙연 전 대표의 탈당으로 이어졌다.
이런 과오를 되풀이해선 안된다는 게 민주당의 인식이다.
다만 이 같은 분위기가 끝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이재명 대세론'을 깨고 추격을 해야 하는 입장인 김경수 전 지사와 김동연 지사 입장에서는 경선에서 반전의 계기가 절실한 만큼, 비방전까지는 아니더라도 이 전 대표를 향한 적극 공세에 나설 수 있어서다.
민주당 다른 관계자는 통화에서 "이번 대선의 경우 승리를 통한 완전한 내란 종식이라는 무거운 역사적 책무가 주어져 있다"며 "특히 지난 대선을 겪어봐서 '분열은 필패'라는 점을 후보들도 잘 알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