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내년 중기 수출, 올해보다 5% 증가 예상"

[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중소기업들의 수출이 내년에는 다소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 내년 수출 10% 증가 예상, 신흥국 경제불안 진정 영향

전통주를 중국과 동남아시아로 수출하는 A사는 중국 경기둔화와 동남아 신흥국 경제불안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면서 올해 수출이 전년보다 20% 감소했다. 그러나 하반기로 갈수록 수출이 살아나고 있다. 주력 수출시장인 중국의 경기가 회복되고 동남아시아 경제불안이 진정되면서 전통주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A사는 "중국과 신흥국 경제가 큰 변수가 되겠지만 내년 수출은 올해보다 10% 정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제품의 품질과 이미지 상승으로 수출 회복 예상

미국과 유럽 바이어로부터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으로 수영복을 제조·수출하는 B사는 환율하락과 수출제품 단가하락으로 인해 올해 수출이 전년대비 20% 정도 감소했다. 그러나 경기가 회복되는 가운데 수영복 품질이 잇따른 호평을 받고 있어 내년 수출에 대한 기대가 크다. B사는 "내년 수출은 올해보다 약 20% 증가해 2013년에 하락했던 부분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수출 중소기업 672개사를 대상으로 '2014년 중소기업 수출 전망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내년 중소기업의 수출은 올해보다 5.0%늘어날 것으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내년 수출전망에 대해서도 '올해와 비슷할 것'(57.1%)이라는 응답이 과반을 차지한 가운데 '늘어날 것'이라는 응답이 31.1%로 '줄어들 것'(11.8%)이라는 답변을 3배 가까이 웃돌았다.

대한상의는 "올해 중소기업은 세계경제 부진에 따른 수요 감소, 수출시장 경쟁심화, 엔저의 영향으로 수출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었지만, 내년에는 미국·유럽 등 선진국 경제 회복, 신흥국 경제 불안 진정, 관련 산업 호조 등에 따른 수요 증가로 수출경기가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실제, 내년 수출이 회복될 것이라고 보는 이유에 대해 응답기업들은 '선진국 경기회복'(25.8%)을 가장 많이 꼽은데 이어 '관련 산업 호조에 따른 수요증가'(25.4%), '수출제품 품질·이미지 상승'(20.1%), '신흥국 경제불안 진정'(15.8%) 등을 차례로 꼽았다.

업종별로는 반도체·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모든 업종의 수출이 올해보다 늘어날 전망이다. 품질경쟁력 향상과 신흥시장 공략에 성공한 '음식료·생활용품'(10.8%)이 올해보다 두자릿수 이상 늘어날 전망됐고, '석유화학'(9.5%), '정보통신기기'(7.5%), '기계·정밀기기'(6.6%)도 수출 확대가 예상됐다.

이밖에 올해 수요침체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과 수입규제 강화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던 '철강·금속'(5.8%)과 수주물량 확보가 어려웠던 '조선·플랜트·기자재'(4.2%)도 세계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증가로 수출 부진의 늪에서 빠져 나올 전망이다.

반면, '반도체·디스플레이'(-1.2%)는 PC시장 축소와 휴대폰 메모리 단가하락, 중국공장 설비 완공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공급확대의 영향으로 내년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 수요 감소, 제품단가 하락으로 내년도 수출 어두울 것

디스플레이를 미국·유럽으로 수출하는 C사는 유럽경기 부진의 영향으로 시장수요가 감소하면서 올해 수출이 지난해에 비해 10%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C사는 "내년 수출은 더욱 힘들 것 같다"며 "내년 중국에 대량생산이 가능한 공장이 완공되면 공급과잉으로 제품단가까지 떨어져 수출이 올해보다 10~20%가량 더 하락할 것으로 본다"며 한숨을 지었다.

한편, 현재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과거 2~3년간 원유·원자재가 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50.1%)를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해외마케팅 등 수출전문가 부족'(21.6%), '수출대상국의 수입규제 강화'(16.2%), '수출 금융 지원 부족'(12.5%), '제품의 품질경쟁력 약화'(11.8%)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중소기업이 꼽은 정부의 수출정책과제로는 '유가·원자재가 안정'(42.9%), '수출금융 지원 강화'(26.0%),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22.8%), '기업경쟁력 강화지원 확대'(18.9%), '정부차원의 보호무역주의 대응'(11.6%) 등이 차례로 제시됐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최근 미국·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세계경제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IT제품 등 주요 수출품목이 선전하면서 지난 10월 수출은 사상 최고치인 505억 달러를 달성했다"며 "하지만 중소기업은 여전히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그는 "수출경기가 내년부터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되지만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수출시장 경쟁심화, 유가·원자재가 상승 등 불안요인은 아직도 남아있다"며 "정부는 유가·원자재가격 안정, 수출금융지원 등 수출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경영활동을 지원하는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가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