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지난해 청해진해운 선원 연수비 '54만원'

23일 세월호의 선사인 청해진해운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이 선사는 지난해 선원들의 '연수비' 명목으로 총 54만1천원을 지출했다. 사진은 세월호의 선사 청해진해운 사무실 모습.
23일 세월호의 선사인 청해진해운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이 선사는 지난해 선원들의 '연수비' 명목으로 총 54만1천원을 지출했다. 사진은 세월호의 선사 청해진해운 사무실 모습.

진도 해상에서 침몰한 여객선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비상시 선원들의 대처법에 관심이 커지는 상황이라 평소 교육훈련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여객선사들이 선원들의 안전교육 등 교육훈련비로 지출하는 비용이 턱없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세월호의 선사인 청해진해운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이 선사는 지난해 선원들의 '연수비' 명목으로 총 54만1천원을 지출했다.

이에 비해, 청해진해운의 같은 해 광고선전비와 접대비로 쓰인 금액은 각각 2억3천만원, 6천60만원로 드러났다.

청해진해운 뿐 아니라 다른 여객선사들도 교육훈련비용 지출에 인색했다.

인천 섬을 오가는 여객선 선사인 고려고속훼리는 지난해 교육훈련비로 56만9천원을 썼다. 고려고속훼리의 접대비와 광고선전비는 각각 3천303만원과 1천900만원이었다.

전라남도의 선사인 동양고속훼리의 2012년과 2013년 교육훈련비는 각각 53만원, 28만원에 불과했다.

씨월드고속훼리는 작년 접대비(1억1천500만원)의 1.3%인 159만원을 교육훈련비에 사용했다. 씨월드고속훼리는 목포와 제주를 오가는 여객선의 선사다.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유기치사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기관장 박모(54)씨, 1등 항해사 강모(42)·신모(34)씨, 2등 항해사 김모(47)씨 등 4명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유기치사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기관장 박모(54)씨, 1등 항해사 강모(42)·신모(34)씨, 2등 항해사 김모(47)씨 등 4명

일본과 부산을 오가는 국제선을 운영하는 선사의 교육훈련비는 그나마 많았다. 지난해 대아고속해운과 팬스타라인닷컴이 지출한 교육훈련비는 각각 1천100만원, 1천300만원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들 선사도 국내 섬을 오가는 선사보다는 많았지만 접대비 대비 비중을 보면 각각 5.5%, 3.2%에 불과했다.

특히 여객선에 오르는 선원들은 위기관리, 여객화물 안전 점검, 승객 관리 등 여객선 교육을 5년에 한 번씩 받아야 승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여객선 교육 주기를 줄이는 등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교육훈련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