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KT "2분기 영업손실, 1조원 규모 명예퇴직 비용 때문"

KT는 19일 2분기 영업손실이 8천130억원으로 작년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공시했다. KT는 지난 4월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에 1조원 규모의 명예퇴직 비용이 들어 이번 분기에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매출액은 전 서비스 부문의 고른 매출 증가에 힘입어 2.4% 증가한 5조8천955억원을 기록했다.

사업별로 들여다보면 유선을 제외한 전 분야의 매출이 개선됐다.

사업 비중이 가장 큰 무선분야는 매출액이 작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1조7천988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에만 가입자가 30만명이 순증하였다. 특히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비중이 56.1%로 확대되며 수익성과 직결되는 가입자당평균매출액(ARPU)이 3만3천619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

유선분야의 매출 감소는 전 분기에 이은 가입자와 통화량 감소로 작년보다 6.6% 감소한 1조4천80억원을 기록했다. KT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기반을 토대로 결합상품 경쟁력을 극대화해 유선분야 매출 하락세를 극복하겠다고 밝혔다.

이 외, 미디어·콘텐츠 매출도 작년 동기 대비 13.8% 성장한 3천813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인터넷TV(IPTV) 가입자가 21만명 순증하며 전체 가입자 수가 537만명을 돌파했다.

금융·렌탈 매출도 BC카드의 안정적 매출과 KT렌탈의 활발한 성장세에 힘입어 작년보다 5.5% 성장한 1조179억원을 기록했다.

KT 김인회 재무실장은 "통신사업 경쟁력이 모든 분야에서 서서히 회복되고 있고, 특히 2분기 장기간 영업정지에도 30만명의 무선 가입자가 순증하는 성과를 달성했다는 점에 주목해달라"고 말했다.

또, KT측은 "3분기부터는 무선사업의 실적 턴어라운드와 사업 합리화로 인한 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나며 수익성 개선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