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경환 부총리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취임전부터 “한국경제는 일본의 잃어버린 20년과 닮아있다”며 여러차례 우려를 나타낸바 있다. 실제 지금 한국경제가 1990~2000에 걸친 일본의 상황과 비슷하다는 시각이 많다.
14일 니혼케이자이신문은 출산율저하와 고령화문제를 들며, 일본이 90년대 15세이상에서 65세미만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추세에 이른 것처럼 한국도 유사한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은 2017년 3612만 명을 정점으로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다. 또, 한국 출산율은 실제 일본보다 낮으며, 고령화 속도는 훨씬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더해 현재 3%대 후반을 유지하고 있는 잠재성장률도 국내외 연구기관은 2% 대로 떨어질 것을 기정 사실화 하고 있다. 90년대에 6% 대였던 연평균성장률은 2000년대에 들어 4% 대로 줄어들었고, 2012년~2013년은 2.6%였다. 정부는 2014년 전망치를 3.7%로 상정하고 있지만, 달성 가능성에 대해 비관적인 목소리는적지 않다.
또, 저성장에 따른 물가상승률도 저하되고 있다. 아직 디플레이션에 접어들었다고 보기에는 힘들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대인 저인플레이션이 계속되고 있다. 이는 한은 목표치인 2.5%~3.5%를 크게 밑도는 수치이다. 한은은 단계적으로 정책금리를 인하하고있지만, 물가상승률을 뺀 실질금리는 그만큼 낮지 않다.
KDB대우증권 윤여삼 투자분석부채권장은 “저인플레이션에서 고실질금리, 고실질금리에서 자국 통화고문제로 이어지는 일본이 겪어왔던 구도로 빠져들고있다” 고 지적했다.
부동산시장 장기저하도 일본과 닮아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 성횡했던 부동산신화는 2008년 리만쇼크를 계기로 붕괴되고, 이후 부동산 시장은 냉각기에 들어와 있는 상태이다.
부동산시장 활성화와 함께 주택대출 등 가계부채는 총 약 1000조원을 넘어서고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70%에 달하는 규모이다. 고용이나 노후 불안 등으로 세금부담이 증가하고있고, 개인소비도 위축되어있다.
최 부총리가 내놓은 경제정책은 임금인상 기업에 세제 지원, 일정규모 이상의 유보금을 보유한 기업에 과세, 부동산 규제완화 등 가계소득 증가와 자산디플레이션 회피를 위한 정책들이 이어지고 있다.
내수확대를 부르짖고 있는것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수출에 의존하는 성장모델에 한계를 느끼고 있기 때문인것으로 풀이된다. 기업은 원약세를 지향한 전 정권에서 세계시장으로 비약했지만, 국내 소득과 고용은 기대에 한참 미치지 못해 기업과 가계소득에 큰 격차를 생겼다. 앞으로는 지속적인 원강세가 예상되고 있어 국내제조업의 경영 여건 악화는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박근혜정부가 내놓은 경제개혁 3개년 정책도 규제완화를 통한 의료, 관광, 금융 등 서비스업이나 중소기업을 육성하는것을 골자로 한다. 이러한 정책이 최 부총리의 경제정책과 맞물려 '대기업 의존과 디플레이션을 회피하는 한편, 고용창출효과가 큰 신산업 육성’ 이라고하는 새로운 성장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정책을 잘못 운영할 경우 자칫 디플레이션으로 빠져들 위험도 있다. 신산업육성과 부동산대책은 역대 정권도 추진하였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던 분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