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S&P "韓 단기적 경기부양 악재 될 수 있어"

[재경일보 박성규 기자] =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단기적인 경제 완화 조치는 악재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리테쉬 마헤시와리 S&P 전무는 29일 국제금융센터가 개최한 ‘중국 리스크가 한국 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의 질의응답에서 한국의 재정 통화 정책공조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그는 “재정을 확대하고 통화 완화정책을 펼치는 것은 결국 정부 예산을 늘린다는 것인데, 경기 부양을 위해 단기적인 조치가 필요한 것은 맞지만 장기적인 경제구혁도 필요한다” 고 조언했다.

또 킴 엥 탄 S&P 상무는 일본 아베총리의 경제정책과 비교하여 “재정과 통화정책을 확장적으로 편성해 구조개혁을 이루는 한국 경기부양책은 일본과 비슷하다” 고 말하며 “하지만 이 두가지 만으로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는 것은 어렵다”고 언급했다

이는 금리인하로 통화량이 늘려 경기를 부양하는 것은 단기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가계신용이 위험해질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킴 엥 탄 상무는 “지금 수준의 가계부채가 당장 금융 리스크를 일으키지는 않겠지만 내수 진작에는 부담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S&P는 한국 은행권의 장기 신용위험에 대해선 우려를 표했지만, 단기적으로 신용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작다고 봤다.

마헤시와리 전무는 "경제 전망이 좋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로 당분간 신용 리스크가 커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몇 년간 한국 은행들이 대출 심사기준을 강화하고 부실채권을 상각했으며, 조선·해운·건설 등 취약 업종에 대한 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했다"며 신용등급 전망이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원화 강세로 수출 업체들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점과 조선·해운·건설업종 구조조정이 아직 진행 중인 것은 약점으로 꼽았다.

S&P는 특히 한국기업들의 신용전망에 대해 중국 시장 의존도가 심해져 위험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LG화학[051910]의 총매출 대비 중국매출 비중은 2012년 42%에서 지난해 44%로 증가했고, 삼성전자[005930]는 14%에서 18%, 포스코[005490]는 8%에서 10%로 늘어난 상태다.

권재민 S&P 전무는 "중국의 저성장은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한국의 철강·정유·화학산업뿐 아니라 제조업에 대한 수요 또한 감소시켜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S&P가 평가한 국내 기업 40여개의 신용등급은 지난해 평균 BB+로 2009년에 비해 두 단계 낮아졌다.

권 전무는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며 "기술과 품질이 한층 개선된 중국기업과의 시장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