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름은 한국인들이 설만큼 중요하게 여기던 명절이다. 현대에 와선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지만, 백중이나 한식, 유두 등 이름만 남아있는 명절에 비교하면 아직도 의미가 깊은 편이다.
지금도 정월대보름이 오면 어머니들은 오곡밥을 짓기 위해 찹쌀과 차조, 수수 등 평소에 잘 먹지 않는 곡식을 사고, 시장에선 호두와 땅콩 등 부럼의 매출이 늘어난다. 이 외에도 대보름 특유의 절식 문화가 있는데 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환절기 영양보충에 도움이 되는 대보름 음식
부럼 - 정월 보름날 새벽에 밤, 잣, 호두, 은행 등 단단한 견과류의 부럼(단단한 껍질)을 먹는 관습이 있다. 어린아이들은 자기 나이수대로 깨물지만, 어른들은 이가 좋지 않아 몇 개만 깨무는 것이 보통이다. 처음으로 깨문 부럼은 먹지 않고 마당에 버린다. 과거엔 부럼을 깨는 행위로 부스럼을 예방하고 치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고 믿었는데 실제로 부럼에 해당하는 음식은 영양가가 높다.
오곡밥 - 쌀, 보리, 조, 수수, 팥 등 다섯 가지 이상의 곡물을 섞어 지은 밥이다. 긴 겨울이 끝난 뒤 오는 영양결핍 방지에 효과적이라 과거 한국인들은 겨울이 오기 전에 곡식을 미리 말려두기도 했다.
진채식 - 무, 오이, 호박, 박, 가지, 버섯, 고사리 등을 말린것이다. 이 묵은 나물을 버리지 않았다가 삶아 먹으면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속설이 있다.
약밥 - 약밥의 약(藥)은 아플 때 먹는 약이 아니라 꿀을 뜻하는 말이다. 삼국유사 소지왕 신화에서 왕은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까마기를 기려 까마귀를 닯은 검은색 약밥을 지어 제사를 지냈다. 정월대보름을 오기일 (烏忌日) 이라 부르는 이유다.
복쌈 - 밥을 김, 취나무, 배추잎에 여러겹 싸서 먹는다. 여러개를 높이 쌓아서 성주님께 올린 다음 먹으면 복이 온다고 한다.
귀밝이술 - 보름날 새벽엔 데우지 않은 술을 남녀구별없이 조금씩 마신다. 이 술의 이름은 '이 술을 마심으로써 귀가 밝아진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정월 대보름날 아침 데우지 않은 찬 술을 마시면 정신이 나고 귓병이 생기지 않아 귀가 밝아진다는 속설이 있다. 술은 주로 청주를 마셨다.
이 외에 대보름 날 세 집 이상 성이 다른 집 밥을 먹어야 그 행의 운이 좋다는 속설도 있다. 그래서 대보름 날 끼니마다 세번씩 아홉 번 밥을 먹는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 대보름만의 화려한 불놀이
위에서 말했다시피 대보름엔 약식을 차려 까마귀에게 제를 지낸다. 소밥주기라고 소에게 밥과 나물을 차려주는 풍습도 있다. 단 대보름이 개들에게는 반갑지 않은 날이다. 보름날에 밥을 주면 개가 말라죽는다는 속설이 있어 이 날엔 개밥을 다음 날 달이 뜨는 매우 늦은 시간에만 주었다.
대보름에 하는 민속놀이도 많았다. 다른 명절처럼 연날리기, 널뛰기, 줄다리기 등도 있지만, 정월대보름의 백미는 역시 쥐불놀이였다.
쥐불놀이는 논이나 밭두렁에 불을 붙이는 민속놀이다. 마른 풀에 일제히 불을 놓아 태우면 1년 내내 병이 없고 재앙을 물리칠 수 있다고 믿었다. 실제로 잡초를 태워 해충의 알을 없애고 쥐를 박멸하는 효과도 있었다. 이 때 타오르는 쥐불의 크기로 그 햐의 풍년이나 흉년, 길흉화복을 점치기도 했다.
충남지방에서는 횃불싸움놀이를 하기도 했다. 횃불을 들고 들로나가 논두렁이나 개천 두렁에 불을 붙이고 놀다가, 대열이 양쪽으로 나누어지면 풍물을 치고 환성을 지르며 서로의 횃불을 빼앗는 놀이다. 햇불을 뺏기는 이가 늘어 어느 한쪽이 횃불이 거의 사라지만 놀이가 끝난다. 이 놀이를 하느라 들판이 불꽃으로 일렁이는 모습은 장관이었다고 한다.
대보름 불놀이의 하이라이트는 달집태우기로, 나무나 짚으로 만든 달집에 물을 질러 주위를 밝히는 놀이다. 역시 달집을 태우는 행위로 액을 쫒고 복을 부른다고 한다. 달집을 태우며 절을 하면 1년 내내 부스럼이 나지 않고, 여름철 무더위를 이겨낼 수 있다고 하며, 달집이 활활 잘 타면 풍년이 든다고 한다. 달집을 태우기 전 풍악대와 사람들이 달집 주면을 맴돌다가 달이 뜨면 횃불로 불을 붙여 달집이 타오르게 한다.
달집태우기 처럼 여름 더위를 막기위한 놀이로 '더위 팔기'가 있다. 하지만 절차가 약간 복잡하다. 대보름 아침 일찍 일어나 해뜨기 전 복숭아나무 가지를 꺾어 개 목에 둥글게 걸고, 소에게는 왼새끼를 꼬아 목에 매달며 "금년에는 더위 먹지 말아라"고 말해야 한다. 이후 동네를 돌아다니다가 지나가는 사람의 이름을 불러 대답하면 "내 더위 사가게"라고 말하며 더위를 판다. 이렇게 더위를 판 사람은 그 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대보름은 불러도 대답을 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았으며, 누가 불렀을때 '내 더위 사가게"라고 먼저 말해 역습을 하는 사람도 있었다.
정월대보름의 대보름은 새해를 맞는 첫 번째 보름달이기에 '대(大)보름'이라고 부른다. 보름달이 항상 음력 1월 5일에 맞춰서 뜨지는 않지만, 그래도 사람들은 이 날 달이 떠오르는 것을 보고 달맞이를 하며 1년의 운수를 점친다.
우리 조상들은 "정월은 천지인 삼자가 합일하고 사람을 받들어 일을 이루며, 모든 부족이 하늘의 뜻에 따라 화합하는 달"이라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