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책소개] 자유를 찾아 날아간 한 소년의 이야기 "짜샤", 우리가 알고 있다고 자만했던 왕따의 현실을 고발한다

-우리 사회의 고질병인 왕따 문제를 피해 학생의 시점에서 적나라하게 묘사한 실화 소설!

 

▲국일미디어
▲국일미디어

[책소개]
이 소설은 왕따 피해자의 입장에서 이유도 없이 겪어야 했던 폭행의 잔혹함을 적나라하게 그려내고 있다. 육체적인 폭행과 정신적인 고문 두 가지 측면을 고스란히 담아내며, 왕따인 주인공 성근이의 심경 변화를 통해 우리가 왕따 피해자에게 조금 더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고등학생 성근이는 홀몸으로 자식을 키우는 엄마에게 효도하기 위해 외교관을 꿈꾸며 지식을 갈고닦는다. 함께 꿈을 키우는 친구 민호가 있어 학교에 가는 것이 무척 즐겁다. 그러던 어느 날 사소한 실수로 민호가 학교의 무법자인 동식이에게 심한 폭행을 당하게 되고, 성근이의 일상도 나락 속으로 떨어진다.

왕따가 된 성근이에게는 '짜샤'라는 별명이 생긴다. 매일 동급생에게 무시당하고 얻어맞지만, 그 어디에도 말할 곳이 없어 외로움에 홀로 눈물짓는다. 소리쳐 도움을 구할 용기도 없고 자신을 향해 내밀어진 손을 잡을 희망도 없는 성근이에게 미래의 꿈은 닿을 수 없는 신기루처럼 멀고 아득하다.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왕따가 얼마나 나쁜 것인지, 당하는 학생들이 얼마나 괴로운지, 모두 이해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조금만 깊이 들어가 보면 그 실상은 우리가 상상한 것보다 더 처참하다.

매일 절망인 이 아이의 모습은 결코 낯선 세계의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다. 바로 여기 나의 이야기이며 내 친구, 내 자녀의 이야기다.

지금까지 왕따 사건을 "친구끼리 다툴 수도 있지.", "저 아이는 장난으로 그런 거라는데." 같은 어리숙한 관용의 마음으로 지나쳤다면, 이제는 그 인식부터 바꿔야 한다.

가해자는 가해자대로 위장하고 피해자는 피해자대로 아픔을 숨긴다. 피해자가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고 어른들이 현실을 몰랐던 것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

왕따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사회의 어른들 모두가 가해자다. 이 책은 관심과 배려로 감싸 안아 소중히 키워야 할 청소년기를 바쁘다는 핑계로 방치한 우리들에게 보내는 엄숙한 질타이고 회초리다. 또한 그런 청소년기를 보낸 모든 어른들에게 보내는 사과문이기도 하다.

이 소설은 왕따 피해자의 심리가 변화하는 과정을 가까운 거리에서 따라간다. 따라서 처절한 왕따 피해자의 정신적인 충격과 심리적 불안이 고스란히 독자에게 전해진다. 실화를 바탕으로 왕따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이 소설은 왕따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그 해결에 더욱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나는 바로 동식이를 가리키고 싶었다. 당장 그놈에게 달려가 "바로 이놈이 민호를 그렇게 만든 놈이에요."라고 소리치고 싶었다. 이제는 정말이지 비굴하게 행동하지 않고 싶었다. 그러나 몸이 말을 듣지 않았다. 입이 열리지 않았다. 비참했다. 어젯밤 그렇게 분노했고 친구를 지키겠다고 다짐했으면서 당장 때가 닥쳐오자 아무것도 못하는 내가 참 비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p75)

나는 신문지 속에서 웅크린 채 울음 반 앓는 소리 반을 옥상에 게워 내었다. 별은 들었을 것이다. 달은 들었을 것이다. 내가 앓는 소리를 하늘은 들었을 것이다. 짐승처럼 구부리고 끙끙 앓으며 까만 밤을 하얗게 새운 것을, 별과 달만은 알아줄 것이다. (p160)

엄마는 자식을 위하는 일이라면 용맹한 전사가 될 거야. 가난을 이겨 내기 위해 일터에 나가는 것은 정말 어렵지 않아. 근데 쓰러져 가는 너를 부축해주지 못하는 이 현실이 정말 견디기 힘들어. 엄마가 여기 있는데도 손을 잡지 않고 스스로를 찬바람 앞에 버려두는 네가 정말 미워. 그리고 서운해. 이제라도 엄마를 찾아봐. 엄마를 바라봐. (p194)

추천평

이 책은 우리 사회가 앓고 있는 왕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이며 새로운 문제의식을 제시하는 신호탄이다.
-방송인 김흥국

아이들과 어른들이 반드시 읽어야 하는 시대적 사명을 지닌 소설이다.
-스포츠 해설가 하일성

책이 희망이라는 말은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지만, 이 책을 읽으니 책이 인간과 사회 문제를 슬기롭게 푸는 중요한 열쇠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된다.
-명성국제특허법률사무소 대표 변리사 김영관

저자소개

이찬석
시인, 기업인, 시민운동가, 발명가
중학교 도덕책에 왕따 노래 작사가로 실린 저자는 왕따를 사회적 질병으로 규정하고 '왕따줄이기국제연대'를 발족하여  전 세계의 왕따를 줄이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그는 왕따 퇴치 운동을 하는 시민운동가이자 시인이며 IT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인이다. 소설뿐만 아니라 왕따 영화 제작을 위한 기금 마련도 하고 있다. 저서로는『생각의 밀애』,『인생 그 중심에 홀로서서』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