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청와대에 이어 김종필 전 총리를 대응해야 하는 시사저널...JP의 법적대응 방향은?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시사저널에 대한 법적대응을 예고했다. 그는 지난 14일 시사저널 기사에 나온 자신의 인터뷰가 ”왜곡되고 과장되었다“며 특히 ”농담 삼아 주고 받은 것을 녹취해 기사화한 것“이라고 문제삼고 있다.

때문에 김 전 총리가 향후 시사저널을 상대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두고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실제로 청와대의 사례를 보면 비판 언론에 대해 확실한 법적 대응을 한 사례를 들 수 있다.

지난 14일 TV조선의 특종보도에 따르면 청와대는 지난 2014년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낙마한 이후 언론에 대한 대응방침을 정하고 비판 언론에 대한 대응을 주문했다.

실제로 비선실세 의혹을 다룬 시사저널과 일요신문은 청와대로부터 수천만원대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당했다.

온건한 정도는 정정보도 청구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지난 4월 시사저널이 ‘청와대가 어버이연합 집회를 지시했다’는 제호의 기사를 냈을 때 기사 내용에서 거론된 청와대 행정관은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를 청구하였다. 또한 출간배포금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하였지만 실제로 하였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고소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 2014년 세계일보가 ‘정윤회 문건’ 특종을 터뜨리자 보도 직후 이재만 총무비서관 등 청와대 인사들이 세계일보 사장, 편집국장, 사회부장, 기사를 작성한 평기자 등 6명에 대해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고소한 바 있다.

이번 김 전 총리 인터뷰를 통해 시사저널은 청와대에 이어 김 전 총리의 법적대응을 맞받아쳐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과거 청와대 사례를 보며 김 전 총리 측도 손해배상 청구나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할 가능성이 나오지만 왜곡과 과장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어 온건한 정도로 끝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앞서 김 전 총리 측은 지난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시사저널의 경영진이 "며칠 전 고향 선배라고 찾아와 시중에서 나도는 이야기를 농담 삼아 주고받았는데, 몰래 녹음까지 해서 왜곡·과장해 비열한 기사를 만들었다. 어처구니 없는 내용이다.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