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등 올해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김기남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반도체 수요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부회장은 18일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1회 정기 주주총회 중 삼성전자 반도체·디스플레이 사업부인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 경영현황 설명에서 "AI(인공지능)와 차량용 반도체 산업 성장, 데이터센터 업체들의 투자 증대, 5G 통신망의 본격적인 확산 등 신성장 분야를 중심으로 반도체 수요는 성장할 것이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메모리 업계는 공정 전환 중심의 투자가 진행돼 전년대비 시장이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3세대 10나노급 D램 양산과 6세대 V낸드 개발 등으로 기술 리더십을 강화해 미래를 대비하는 한편, 4세대 10나노급 D램과 7세대 V낸드 개발로 기술 격차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 HBM(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 메모리) 등 차별화된 제품 개발을 통해 신성장 시장 분야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방침이다.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은 5나노 양산과 4∙3나노 적기 개발 등 미세 공정에서 리더십을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파운드리 에코 시스템 강화, 생산능력 확대와 생산효율 극대화, 고객다변화를 통해 성장기반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시스템 대규모집적회로(LSI)는 5G 모뎀 상용화 등 모바일 분야에서 보여준 시스템온칩(SoC) 기술과 이미지센서의 혁신적인 기술 리더십을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AI, 전장 등 신성장 사업의 확대를 위해 차세대 기술 기반을 확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