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2분기에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실적이 부진할 것이라는 시장 전망치를 훌쩍 넘어선 영업 실적을 거뒀다.
30일 삼성전자가 발표한 2분기 실적에 따르면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보다 23.48% 증가한 8조1천463억 원, 매출은 5.63% 감소한 52조9천661억원 을 기록했다. 이는 영업이익이 6조4천500억원이었던 1분기보다는 26.35% 증가한 수치다.
코로나19로 반도체 사업은 특수를 봤고, 스마트폰과 TV도 코로나 충격이 예상보다는 크지 않았던 데다, 일회성 이익까지 반영되며 시장 전망치를 훌쩍 뛰어넘을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 실적은 반도체가 타 부문 실적 악화를 상쇄하는 반도체 효과가 크다. 올해 2분기에는 반도체는 코로나 특수로 굳건했고, 스마트폰과 TV·가전도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나왔다.
![삼성전자 삼성전자](http://images.jkn.co.kr/data/images/full/948173/image.jpg?w=560)
2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은 5조4천300억원, 매출은 18조2천300억원으로, 이는 2018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올해 들어 서버 D램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있고 코로나19 발발 이후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 비대면(언택트) 수요 확대로 반도체 부문은 탄탄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무선 모바일(IM) 부문은 영업이익은 1조9천500억원, 매출은 20조7천500억원을 냈다. IM 부문 영업이익은 1분기(2조6천500억원)보다는 1조원 가까이 줄어든 것이지만 작년 동기(1조5천600억원)보다는 약 4천억원 많은 수준이다.
스마트폰 출하량이 기대치를 상회했고, 코로나 영향으로 마케팅 비용이 대폭 줄면서 예상보다 많은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코로나19에 따른 수요 감소 영향으로 스마트폰 판매량과 매출이 전 분기보다 하락했으나 마케팅비 절감 등 비용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을 견조하게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TV·생활가전 등 CE 부문 역시 코로나19로 직접 타격을 받았던 북미, 유럽지역 오프라인 매장이 재개장과 국내 성수기 진입, 프리미엄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 7천300억원, 매출 10조1천700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호실적의 또 다른 공신은 디스플레이 부문(DP·삼성디스플레이)이다. 당초 1분기에 이어 적자가 유력하다고 예측됐으나, 일회성 이익이 반영되며 3천억원의 흑자를 냈다.
![삼성전자 삼성전자](http://images.jkn.co.kr/data/images/full/948174/image.jpg?w=560)
일회성 수익에 대해 삼성전자는 구체적인 확인을 하지 않고 있으나, 업계에서는 아이폰 판매 부진 때문에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수요가 줄어든 데 대해 고객사인 애플이 삼성에 일종의 보상금을 약 1조원 지급했다고 추측한다.
회사 측은 "DP 부문 중소형 패널의 경우 스마트폰 수요는 감소했으나 일회성 수익 발생으로 전 분기보다 이익이 증가했다"며 "대형 패널은 TV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모니터 판매가 확대하며 적자 폭이 소폭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2017년 인수한 하만은 2분기 영업손실이 900억원을 기록했다. 소비자 제품의 일부 수요 회복 등으로 전 분기(1천900억원)보다는 적자가 축소했으나, 세계 자동차 업황 악화로 적자가 지속됐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은 DP 부문 일회성 수익 약 1조원(추정치)을 제외해도 7조원 이상이라, 당초 예상됐던 코로나 충격은 사실상 없었다는 게 업계의 대체적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