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내수 회복 지연과 고용 둔화 등 국내 악재에 대외 불확실성이 더해지면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했다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 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고 있다"고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지난달과 비교하면 '내수 회복 지연'이라는 표현이 새롭게 추가됐다.
글로벌 경제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 관세부과 현실화 등통상환경 불확실성 확대됐다.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작년 12월 광공업 생산 및 서비스업 생산, 설비투자 및건설투자 증가했으나 소매판매는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2.3% 증가했다.
전월과 비교해 광공업 4.6%, 서비스업 1.7%, 건설업 1.3% 각각 늘었다.
다만 건설업은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8.3% 줄었다.
지난해 12월 소매 판매는 보다 0.6%, 전년 동월보다 3.3% 각각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전월보다 1.3%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비로는 8.3% 감소했다.
1월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10.3% 줄었다.
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1.2로 전월보다 3.0p 증가했지만, 여전히 기준값인 100을 밑돌았다.
1월 취업자는 작년 같은 달보다 13만 5천명 증가했다.
![채용 채용](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7439/image.jpg?w=560)
다만 건설업 취업자는 16만9천명 감소해 2013년 산업분류 개편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1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폭 확대 등으로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2.2% 상승했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9% 올랐다.
제조업 취업자는 7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청년층 취업자도 21만8천명 줄며 2021년 1월 이후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1월 중 금융시장은 주가는 상승했으며 국고채 금리와 환율은 하락했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조치가 현실화하면서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됐다는 진단이다.
1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는 85.9로 전월보다 1.4p 하락했다.
11월 관리재정수지는 81조3천억원 적자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가 16조4천억원으로 확대됐다.
통합재정수지는 28조2천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기재부는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을 통해 일자리·서민금융·소상공인 등 분야별 개선 조치를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첨단전략산업기금 설치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