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의협)이 정부의 의대 정원 증설에 반대하며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대학병원 응급실과 수술실 등에서 근무하는 전공의들도 동참을 선언하며 진료 차질 현실화가 우려되고 있다.
3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오는 7일 파업을 의결한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가 14일 파업을 의결했다.
이렇게 되면 동네병원의 개원의부터 대학병원의 전공의까지 진료에서 손을 놓게 된다.
대전협은 환자 생명과 직결되는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을 비롯해 분만실, 투석실 등의 진료과 전공의도 전면 업무를 중단키로 했다.
다만 전공의 파업이 '금요일 하루'에 그칠 경우 큰 진료 공백은 생기지 않을 것이라는 게 의료계의 중론이다.

주요 병원들은 전공의 파업과 관련해 대책 논의에 나서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이날 오전 전공의 파업과 관련한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병원 내부에서 정확한 파업 참여 규모를 확인하는 등 상황 파악에 주력 중이다.
서울아산병원 역시 전공의들의 파업 참여율을 파악하는 등 대비에 나섰다. 다만 파업이 하루에 그칠 경우 전문간호사 등의 인력을 동원해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성모병원은 전공의들이 파업에 참여하는 동안 교원, 펠로(전임의) 등의 대체 인력을 투입해 업무 공백이 없도록 관리할 예정이다.
삼성서울병원은 원내 전공의 대표와 함께 해당 사안을 논의 중이다. 아직 파업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다고 밝혔다.
앞서 의협은 의대 정원 증원, 공공의대 설립, 첩약 급여화, 원격의료 도입 등에 반대해 14일 파업을 하겠다고 의결했다.
대신 의협은 12일까지 정부가 개선 조치를 내놓을 것을 요구하며 그렇지 않으면 파업에 들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의협은 "필수 의료 분야나 지역의 의료 인력이 부족한 것은 의사 인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억누르고 쥐어짜기에만 급급한 보건의료 정책 때문"이라며 "무분별한 의사 인력 증원은 의료비의 폭증, 의료의 질 저하를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지난달 23일 2022학년도부터 10년간 한시적으로 의과대학 정원을 늘려 총 4천명의 의사 인력을 추가로 양성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지역 의료인력 부족과 대구·경북지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급격히 확산했을 때 지역 병상과 의료인력 부족으로 인해 환자들이 치료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자 의대 정원 확대 문제가 논의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