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미군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현황이 누적 144명인 가운데 한미 군 당국은 올해 한미연합훈련을 축소 실시하기로 했다.
11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한미는 이날부터 14일까지 연합훈련의 사전연습 성격인 위기관리참모훈련(CMST)을 진행 중이다. 예비 훈련이 시작됨에 따라 본 훈련도 계획된 일정에 따라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김준락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이날 국방부 정례 브리핑에서 "한미가 연합지휘소 훈련 관련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며 "본 훈련 이전에 훈련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합참에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방부 역시 한미연합훈련과 관련해 한미가 협의 중이라는 입장만 재확인했다.
본 훈련은 예년과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식의 연합 지휘소 훈련(CCPT)으로 이뤄지지만, 규모는 축소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훈련을 위해 한국으로 이동할 미국 본토나 일본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병력 규모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통상 열흘가량이던 훈련 기간은 2∼3일 정도 늘어났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훈련 인원을 분산하고 과거와 달리 야간 훈련을 줄여 주간 훈련 위주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을 위한 미래연합군사령부의 완전운용능력(FOC) 검증은 일부만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엔 본격적인 FOC 검증을 위한 사전적 성격의 예비 검증과 일부 FOC 검증이 이뤄지며, 내년 전반기 연합훈련 때 나머지 FOC 검증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FOC 준비 작업이 올해 전반기 훈련 때 이뤄져야 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시행되지 않아 하반기에 진행되는 것이다.
한국군은 당초 이번 연합훈련 때 FOC 검증을 마무리하려고 했지만, 미군은 코로나19로 인한 미군 인력 운용 제한과 훈련 규모 축소 등으로 FOC 검증 진행에 난색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4월 17일 이후 주한미군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두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 입국한 주한미군으로, 누적 확진자 144명 중 120명이 한국에 입국한 직후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최근 주한미군 장병이 한국에 입국한 직후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한국으로 들어오는 주한미군 장병은 미국 출발 전 코로나19 검사 등 강화된 사전 검역을 받는다고 미군 기관지 성조지가 이날 보도했다.
그동안 미군은 출국 전 코로나19 검사는 하지 않고, 발열 등 기본적인 증상만 확인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