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말부터 전국을 휩쓴 물난리가 일어난 가운데 산사태도 다수 일어났다.
전날 산림청에 따르면 6월 이후 산사태 피해는 전국적으로 1천79건에 이르며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은 전날 기준 전체 1만2천721곳 중 12곳(0.09%)에서 피해가 났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유관기관 모두 태양광 발전 시설의 안전관리 강화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런 가운데 여야는 태양광발전을 대상으로 한 국정조사에 대해 대립을 보이고 있다.
미래통합당 등 야권은 '태양광 국정조사'와 국회 내 '에너지 특위'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박진 의원은 이날 국회 토론회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총 집결체인 원전을 포기하고 태양광을 설치해 산사태를 일으키고 그에 따른 피해가 커졌다"며 "국회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고 했다.
국민의당 이태규 의원은 tbs 라디오에서 "만약 태양광 시설 때문에 산사태가 벌어졌다면 명백하게 인재의 성격이 강한 것"이라며 "감사원 감사를 해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0년 8월 8일 오후 충북 제천시 대랑동 태양광 설비가 산사태로 파손된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2020년 8월 8일 오후 충북 제천시 대랑동 태양광 설비가 산사태로 파손된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http://images.jkn.co.kr/data/images/full/948588/2020-8-8.jpg?w=600)
이에 대해 민주당은 정치공세라며 선을 그었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기록적 폭우 앞에 정쟁 요소로 끌어들여서 논쟁하자고 달려드는 것은 점잖지 못하다"며 "태양광도 지난 정부 때 허가가 너무 많이 났었다"고 말했다.
이낙연 의원은 "경사도를 훨씬 엄격하게 해 평지나 다름없는 곳에 태양광을 설치했는데 그 때문에 산사태가 생겼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태양광이 설치된 곳은) 산사태 면적의 1%도 안 된다. 과장"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부는 산지 태양광 부작용 해소를 위해 태양광을 지목변경 없이 사용하도록 한 뒤 산림을 원상으로 복구하도록 하고, 경사도 허가 기준을 25도에서 15도로 강화하는 한편 산지 태양광 신재생에너지인증서(REC) 가중치를 축소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전체 태양광발전에서 산지(임야) 태양광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39.2%에서 2018년 32.5%, 2019년 31.5%로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대신 농지와 기타 용지(과수원, 목장 용지 등)를 활용한 태양광 비중이 2017년 각 25.5%, 11.7%에서 2019년 각 30.3%, 12.6%로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