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가 계속되는 가운데 제주도 여행 성수기도 바뀌고 있다. 이에 저비용항공사는 어떤 움직임을 보이게 될까.
13일 종합숙박ㆍ액티비티 플랫폼 여기어때(대표 정명훈)에 따르면 제주 왕복 항공권(7~10월 출발) 전체 예약 건수 중 8월 23일~9월 12일 출발하는 티켓 비율이 33%를 차지했다.
회사 관계자는 "예년과 달리, 성수기가 약 1달 가량 미뤄져 '8말 9초'에 여행을 떠나는 분위기가 감지됐다"며 "여행 성수기로 꼽히는 7월 26일~8월 15일의 비중은 13%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성수기가 뒤로 밀린 데는 코로나19를 감안한 사회적 분위기가 한 몫 했는데 수도권을 시작으로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바캉스 욕구를 억누르면서, 일정을 연기하는 추세다"라고 전했다.

성수기가 늘어짐은 저가항공사 실적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화물운송 대안이 있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과 달리 저가항공사에게는 국내 운항이 대부분이다.
13일 국내 증시에 상장된 저비용 항공사(LCC) 주가를 보면 에어부산(3465원·0.58%)과 진에어(1만9800원·2.59%)가 오른 가운데 제주항공(2만2800원·-0.44%), 티웨이항공(3710원·-3.39%) 등이 하락했다.
LCC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적자에 허덕이는 기간도 길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유상증자로 나오고 있다.
올해 1분기 부채 비율 886%를 기록한 티웨이항공은 지난 4월 더블유밸류업유한회사를 대상으로 80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했다.
제주항공과 에어부산은 유상증자를 추진한다.
제주항공은 이날 임시주주총회에서 5:1 무상감자 안건을 승인했다고 공시했다. 이어 21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도 결정했다. 이에 따라 제주항공 주식은 이달 27일부터 9월9일까지 거래가 중지된다.
에어부산은 오는 10월 2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한다.
국내 최대 항공노선인 김포-제주의 성수기가 늦춰지게 되면 실적에 영향이 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저비용항공사들은 몽골노선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정부와 몽골 정부는 이달 2,3일 열린 항공회담에서 내년부터 성수기(6∼9월)에만 직항 항공편 좌석 공급력을 국가별 주당 2500석에서 5000석으로 늘리기로 했다.
인천∼울란바토르 노선은 2019년 기준 양국 간 항공 여객 수가 39만2000만여명에 달하며, 2015∼2019년 연평균 6.8%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해왔다. 성수기 탑승률은 90%에 육박해 항공권 가격이 치솟고, 만성적인 항공권 부족으로 양국 국민들이 불편을 겪어왔다.
앞으로 저비용항공사들이 넓어진 몽골 하늘길을 확보하기 위해 나설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몽골 노선은 대한항공의 독점으로 소비자들이 피해를 본 대표적인 노선이었다"며 "아시아나항공 통합 이후 다시 발생할 독점을 막기 위해서 LCC 운항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