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코로나19 대출 만기연장·이자유예 연장 무게

이달 말 종료되는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등 코로나19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세 번째로 연장하는 방안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전날 오후 서울정부청사에서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은행 등 6대 시중은행 여신 담당 부행장들과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금융지원 프로그램 연장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금융당국은 코로나19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사실상 6개월 더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 은행들의 의견을 한 차례 더 수렴했다.

오는 10일 고승범 금융위원장과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의 간담회를 앞두고 해당 사안을 미리 조율한 것으로 보인다.

소상공인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10일 금융위원장과 금융지주 회장 간 만남이 예정돼 있어 관련 사안이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전날 회의에서 3차 연장을 했을 때 각종 연착륙 방안에 대해서도 향후 아이디어를 내보라고 한 만큼 사실상 연장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전날 당국이 은행권 의견을 받아서 계속 논의 중이며, 6개월 만기 연장에 대해서는 은행권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으나 6개월 이자 유예에 대해서는 아직 이견이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간 금융권 일각에서는 부실 누적 등을 우려해 프로그램 종료 후 '연착륙'을 위해서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은 한 차례 더 연장하되 이자상환 유예는 종료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해 왔다.

이와 관련해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방역상황 등이 더 심각해진 점을 거론하며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어려움을 충분히 감안한 결정을 하겠다"고 밝혀 사실상 지원 프로그램의 세번째 연장을 예고한 것으로 해석됐다.

이 프로그램은 작년 4월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금융지원을 위해 마련됐으며 애초 6개월간 한시적으로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가 장기화하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피해가 늘면서 두 차례 연장됐고, 9월 말 종료를 앞두고 있었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6월 25일 기준 지원 금액은 총 204조4000억원으로, 대출만기 연장 192조5000억원(75만1000건), 원금상환 유예 11조7000억원(7만6000건), 이자상환 유예 2000억원(1만5000건) 등이다.

당초 금융위는 지원 프로그램 종료 후 10월부터는 ▲ 금융사의 상환 방안 컨설팅 제공 ▲ 잔존 만기가 유예 기간보다 짧은 경우 만기 연장 허용 ▲ 상환 유예된 이자에 대한 이자 미부과 ▲ 중도상환 수수료 없는 조기 상환 ▲ 차주가 상환 방법·기간 결정 등 '연착륙 지원 5대 원칙'을 적용하겠다는 계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