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년간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이 매년 평균 3.03㎜씩 높아져 총 9.1㎝가량 상승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1990년대보다 최근 10년간의 상승 속도가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면 상승이란?
지구온난화로 지구 평균 온도가 올라가면 극지방 빙상과 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가고 수온 상승에 따른 해양의 열팽창으로 해수면이 점차 상승하게 된다.
▲한반도 해수면 매년 평균 3.03㎜ 상승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해 이러한 내용의 '기후변화에 따른 장기 해수면 변동 연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7대 지표 중 하나인 해수면 장기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1991년부터 2020년까지 21개 조위관측소가 관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승률을 계산했다.
그 결과 해수면은 해당 기간 매년 평균 3.03㎜씩 높아진 것으로 추산됐다.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동해안이 연 3.7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해안(연 3.07㎜), 남해안(연 2.61㎜) 순이었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울릉도(연 6.17㎜)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이어 포항·보령·인천·속초 순이었다.

▲해수면 상승속도 최근 10년간 빨라져
최근 30년간 연안 평균 해수면 상승 속도를 살펴보면 1991∼2000년에는 연 3.80㎜, 2001∼2010년에는 연 0.13㎜, 2011∼2020년에는 연 4.27㎜였다. 1990년대 대비 2010년대 상승 속도가 약 10% 이상 증가한 셈이다.
지난 8월 '정부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 산하 실무그룹은 1971∼2006년과 2006∼2018년에 전 지구 평균 해수면이 각각 연 1.9㎜씩, 3.7㎜씩 상승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그 결과와 비교하면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상승률은 1971∼2006년 연 2.2㎜로 전 지구 평균보다 소폭 빨랐지만, 2006∼2018년에는 연 3.6㎜로 전 지구 평균과 유사했다고 분석됐다.
정태성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지금과 같은 기후 위기에 연안의 선제적 관리와 대응을 위해서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현황을 지속해서 감시하고 장기 전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UN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현 흐름대로 유지할 경우 2081년~2100년의 시점에서 지구 평균 기온은 2.6~4.8℃ 올라가고 해수면은 45~82cm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해수면 [무료이미지] 해수면 [무료이미지]](http://images.jkn.co.kr/data/images/full/958646/image.jpg?w=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