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1인 자영업자, 사업소득으로 가계지출 감당못해…지원금으로 버텼다

작년 3분기 고용원 없이 혼자 일한 자영업자 가구는 코로나19 확산 첫해보다도 사업소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사업소득으로 가계지출을 감당 못해 정부 지원과 기타 근로소득으로 버틴 것으로 보인다.

▲1인 자영업자, 사업소득으로 가계지출 감당 못해

5일 연합뉴스의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작년 3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가운데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1인 자영업자)가 가구주인 가구의 월평균 사업소득은 270만1958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271만5224원) 대비 0.5% 감소한 수준이다. 이미 코로나19 확산이 진행된 2020년과 비교해도 소득이 줄어든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가구의 사업소득은 1년 전보다 2.0% 늘었고, 전체 가구의 평균 사업소득도 1년 새 3.7% 증가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비롯한 방역 조치가 이어지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영세한 1인 자영업자 가구에 타격이 집중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1인 자영업자 가구의 경우 월평균 가계지출(소비·비소비지출)이 290만1860원으로 사업소득보다 많았다.

가구주의 사업소득만으로는 기본적인 가계 지출을 영위할 수 없었다는 의미다.

다만 가구주나 다른 가구원이 추가로 일을 해서 번 근로소득(74만687원)과 외부에서 들어온 이전소득(81만1839원) 등을 포함한 전체 소득은 433만5095원으로 1년 전보다 4.3% 늘었다.

특히 정부 지원금 등이 포함된 이전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29.0% 급증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가구의 가계 소득을 떠받쳤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이런 통계에 대해 "국가 재정은 무한정 쓸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결국 누구를 지원할 것이냐가 문제인데, (코로나로) 피해를 본 영세한 분들에게 초점을 두고 지원하는 게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소상공인
[연합뉴스 제공]

▲금감원장 "폐업위기 소상공인 증가…건전성관리·맞춤지원 강화"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5일 "코로나19 장기화와 폐업 위기에 놓인 사업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금융회사의 건전성 관리와 소상공인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은보 금감원장은 이날 은행회관에서 열린 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코로나19 기간에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소상공인의 영업환경이 열악해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작년 9월 말 활동사업자(월간 카드매출 5만원 이상 사업자)가 182만개로 작년 3월 말보다 6.8% 줄어 6개월 연속 감소세라는 통계를 제시했다.

정 금감원장은 "이미 가동 중인 프리워크아웃, 채무재조정 제도가 더욱 활성화되도록 지원하고, 매출 회복 지원을 위해 은행 및 유관기관과 연계한 소상공인 경영컨설팅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