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한줌] 불확실한 성장과 시험대에 오른 비대면 관련주
연준 자산 축소가 가져올 나비효과도 대비해야
20일(현지 시각) 미국 증시에서 코로나19 팬데믹(범세계적 대유행) 덕으로 성장한 기업들 주가가 하락했다. 특히 넷플릭스는 이날 30%가 넘는 내림세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장기화로 성장세도 둔화되는 경제 상황이다. 비대면 주식의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자산 축소가 가져올 부담도 대비해야 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피해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3.6%로 하향 조정하고, 물가상승 전망은 선진국 +5.7%, 신흥국들은 +8.7%로 예상했다. IMF는 올해를 세계 경제에 유의미한 피해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은 경기 악화와 수출 둔화에도 예상치(4.2%)를 상회한 4.8%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 수치도 중국의 코로나19 봉쇄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향후 더 적나라하게 드러날 것이란 분석이다.

DS투자증권 손호성 연구원은 "IMF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통화정책의 선택지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대부분의 국가들이 성장을 해치지 않는 적정수준을 찾아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고 전하며, 인플레가 지속될수록 희생되어야 하는 미래의 성장률은 커져만 갈 것이라 전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이날 뉴욕증시는 장기금리가 하락했음에도 기업실적 영향으로 혼조세를 보인 영향으로 혼조세를 기록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3만5160.79·+0.71%)와 중·소형주 위주 러셀2000(2038.19·+0.37%) 올랐을 때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1만3453.07·-1.22%)과 S&P500 지수(4459.45·-0.06%)가 하락했다.
미국 증시는 1분기 실적발표 기간에 들어가 있다. 넷플릭스(-35.12%)는 경쟁 심화, 러시아 가입자 이탈, 리오프닝 등으로 유료 가입자 20만 명 감소 소식에 급락했다. 유료 가입자는 넷플릭스 실적의 핵심으로 컨센서스 +250만 명을 크게 미치지 못한 것은 물론 2011년 이후 첫 감소세다. 넷플릭스는 19일(현지 시각) 미국 장 마감 후 실적발표로 시간 외 거래서 -25% 하락했었다.
넷플릭스의 급락은 디즈니 등 스트리밍 회사들은 물론 재택근무 관련 수혜주의 급락이 이어졌다.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메타 플랫폼(-7.77%)도 러시아 활성 고객 이탈 우려로 하락했다. 로쿠(-6.17%)등 스트리밍 관련 종목과 줌(-6.73%), 펠로톤(-11.25%) 등도 하락했다.
이들 회사의 공통점은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성장했다는 점이다. 미래에셋증권 서상영 본부장은 "팬데믹으로 인해 성장한 기업들의 성장세가 꺾일 수 있음을 보여줬다"라고 분석했다.
이를 두고 실적발표 기간 투자자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한 기업의 현실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키움증권 한지영 연구원은 "가입자 수 유출 쇼크에 따른 넷플릭스 주가 폭락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눈높이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기업들에 대한 시장의 판단은 가혹하며, 업종 내 관련 기업들까지 충격의 전이 효과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만큼 예측성 투자를 자제해야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지영 연구원은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여타 빅테크 실적 결과에서도 넷플릭스 사태와 유사한 결과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선 예측성 베팅 보다는 확인 후 대응하는 전략이 적절하다"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투자자는 미 연준의 자산 축소 이슈도 대비해야 한다. 장기적인 성장성에 대한 의심으로 30년 금리는 10년 과 거리를 벌리지 못하면서 초장기 플래트닝(수익률곡선이 평평해진 상황) 압박이 심하기 때문이다.
연준은 3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을 통해 월한도 기준 국채 600 억 달러와 모기지 350억 달러 수준의 자산 축소 계획을 밝혔다.
메리츠증권 윤여삼 연구원은 "3월 중 미국채10년과 2년 금리가 역전되는 등 경기침체 논란이 불거졌고, 연준은 3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을 통해 연준자산 축소 계획을 밝혔다"며 "당장 채권시장 악재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결국 유동성 축소라는 금융시장, 실물경제 전반에 미칠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연준자산 축소가 채권시장의 악재에 그칠 것으로 치부해서는 안될 것"이라며 "연준이 제시하는 현재 미국채금리 상승의 원인은 인플레기대에 단기 실질 금리 상승까지 더해지고 수급적 저금리 여건은 대부분 소멸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투자 결과의 책임은 정보를 이용하는 투자자님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