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양주와 경북 영주에 공동점포 개점
금융위 "공동점포수 실적으로 인정"
시중은행들의 공동점포가 경기도 양주시와 경북 영주시에 문을 열었다.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5일 하나의 지점에서 고객대기공간을 공유하고 각 은행의 창구를 별도 운영해 신한ㆍKB국민은행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앞서 하나은행과 우리은행도 경기도 용인시 신봉동에 은행권 최초 공동점포를 지난 4월 말 운영을 시작했다.
이번 공동점포는 시범운영이며 KB국민은행의 양주고읍점, 신한은행의 영주지점을 공유하는 형태다. 기존 영업점과 동일하게 ▲여수신 ▲외환 ▲전자금융 ▲부수대행 등 모든 은행업무가 가능하게 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공동점포는 고령층 등 금융소외계층의 대면 채널 상담 선호도를 반영했다"며 "내부 인테리어는 은행을 방문하는 고객이 보다 편안한 분위기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고객중심 점포 디자인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신한ㆍKB국민 공동점포는 시중은행 영업점이 부족한 지역 고객의 대면 접근성을 유지하고 금융 취약 계층의 금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연초부터 은행간 대상 지역 선정 및 운영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해 공동점포를 추진했다.
공동점포는 금융위원회에서도 은행 평가시 가점 요인으로 지정하며 독려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역재투자 평가위원회에서) 올해 시행된 제3차 평가에서는 고령층 등 금융소비자의 오프라인 금융접근성 제고 노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평가지표를 개선했다"며 "최근 은행 간 공동점포 논의가 활성화 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공동점포에 대해 참여기관 모두의 점포 수 실적으로 인정하도록 평가기준을 명확화 하였다"고 설명했다.
지역재투자 평가결과는 경영실태평가(금감원) 및 지자체‧지방교육청 금고 선정기준 등에 활용되어 중요한 지표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시중은행 영업점이 부족한 지역 고객의 대면 접근성을 유지하고 금융 취약 계층의 금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연초부터 은행간 대상 지역 선정 및 운영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해 공동점포를 추진했다"며 "앞으로도 미래 금융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다양한 영업점 운영모델 개발·도입을 통해 금융소외계층을 비롯한 은행 고객 모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