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조만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경제 대국으로 부상할 가능성은 낮으며, 중국의 신뢰도 하락이 더욱 고착화됨에 따라 1위 자리를 차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5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중국의 국내총생산이 미국을 넘어서는 데는 2040년대 중반까지 걸릴 것이며, 그 이후에도 "근소한 차이로 추월했다가 다시 뒤쳐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팬데믹 이전에는 중국이 빠르면 향후 10년 초에 1위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미스트는 5일 연구 노트에서 "중국은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빨리 더 느린 성장 경로로 하향 전환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 이후 반등은 부동산 침체가 심화되고 중국의 경제 관리에 대한 신뢰가 사라지는 것을 반영하여 활력을 잃었다. 신뢰 약화가 고착화될 위험이 있으며, 그 결과 성장 잠재력이 지속적으로 저하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경제학자들은 중국 경제의 성장률이 2030년에는 3.5%로 둔화되고 2050년에는 1%에 근접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이전 전망치인 각각 4.3%와 1.6%보다 낮은 수치다.
지난해 중국 경제는 팬데믹 통제와 부동산 위기가 중국을 강타하면서 수십 년 만에 가장 느린 성장률인 3% 성장에 그쳤다. 결국 경제가 재개되면서 올해 경제가 회복될 것이라는 희망이 생겼다.

그러나 수출이 감소하고 부동산 침체가 심화되면서 경기 회복의 동력을 잃었다.
서비스 부문의 민간 지표에 따르면 지난달 사람들이 지출을 자제하면서 활동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가 설문조사한 경제학자들도 2024년 성장률 전망치를 5% 미만으로 하향 조정하고 있다.
미국과 주요 7개국은 중국의 뿌리 깊은 구조적 문제에 대한 증거를 점점 더 많이 살펴보고 있으며, 경기 둔화로 인한 파급 효과도 고려하면서 궁극적으로 지정학적 경쟁자가 약화되는 것에 맞서 서방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보고 있다.
중국은 또한 더 깊고 장기적인 도전에 맞서고 있다.
중국은 작년에 1960년대 이후 처음으로 인구 감소를 기록하면서 생산성 약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규제 단속과 미국 및 기타 서방 정부와의 지정학적 긴장도 신뢰도에 타격을 입혔다.
반면, 미국은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많은 경제학자들이 예측했던 것보다 더 나은 상황이라는 평가다.
강력한 노동 시장, 견고한 소비자 지출, 완만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경제가 당분간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커지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2022~2023년 미국의 잠재 성장률을 1.7%로 추정하고 있으며, 장기 전망은 2050년까지 1.5%로 점진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블룸버그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중기적으로 중국의 성장에 대한 낙관론은 "막대한 경제 규모, 글로벌 기술 리더를 따라잡을 수 있는 상당한 공간, 정부의 개발 초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동력이 약화된 힘으로 작동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