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지능(AI)은 전 세계 일자리의 거의 40%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선진국은 신흥 시장과 저소득 국가보다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국제통화기금(IMF)은 분석했다.
15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크리스티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전무이사는 연구에 대한 블러그 게시물에 "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서 AI는 전반적인 불평등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정책 입안자들이 기술이 사회적 긴장을 더욱 부추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다"라고 말했다.
분석에 따르면 AI의 소득 불평등 효과는 기술이 고소득층을 얼마나 보완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다.
고소득 근로자와 기업의 생산성이 높아지면 자본 수익률이 높아져 부의 격차가 확대될 것이라고 게오르기에바 전무이사는 말했다.
그녀는 각국이 취약한 근로자를 위한 "포괄적인 사회 안전망과 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또 AI가 일부 일자리를 완전히 대체할 가능성도 있지만, 더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는 인간의 작업을 보완하는 것이다.
선진국에서는 약 60%의 일자리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신흥국이나 저소득 국가보다 더 많은 수치다.
인공지능에 대한 게오르기에바 전무이사의 견해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 글로벌 비즈니스 및 정치 지도자들이 모여 인공지능을 주제로 논의하는 시기와 맞물려 있다.
기업들은 이 새로운 기술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고 있으며, 때로는 직원들의 미래 역할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 예로, 콘텐츠 제작에 AI를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핵심 뉴스 부서를 폐쇄하여 100명 이상의 직원을 해고한 버즈피드(Buzzfeed Inc.)가 있다.
유럽연합은 12월에 AI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법안에 잠정 합의한 반면, 미국은 여전히 연방 정부의 규제 입장을 저울질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