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필수 금융상식 A to Z] 가산금리

가산금리(Spread, 또는 Premium)는 기본 금리에 추가적으로 부과되는 금리를 의미한다.

즉, 차입자가 자금을 조달할 때 적용되는 기준금리에 덧붙여지는 금리로, 자금 대출자에게 더 많은 리스크가 있을 때 가산금리가 높아진다. 이 금리는 주로 신용도, 시장 상황, 국가 리스크 등의 요인에 따라 결정되며, 금융 거래의 성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기준금리에 덧붙여 차입자의 신용도, 자금의 성격, 금융시장 상황 등에 따라 추가로 부과되는 금리다. 예를 들어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가 채권을 발행할 경우, 신용등급이 높은 회사보다 가산금리가 높아진다. 이는 투자자가 신용 위험을 감수하는 만큼 더 많은 이자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에도 가산금리가 적용된다. 예를 들어 미국 국채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신용이 매우 높아 기준금리 수준에서 발행되지만, 신용도가 낮은 국가의 경우 부도 위험이 더 크기 때문에 높은 가산금리가 붙는다.

또한 기업이 채권을 발행할 때, 해당 기업의 신용등급에 따라 가산금리가 달라진다.

금리
[연합뉴스 제공]

가산금리 관련 사례들을 정리했다.

▲남유럽 국가 채무 위기 (2010년대)

2010년대 초반,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등의 남유럽 국가들은 심각한 국가채무 위기에 직면했다. 그리스 같은 국가들은 재정 적자가 심화되었고, 채권 발행 시 매우 높은 가산금리를 적용받았다. 그리스 국채의 가산금리는 독일 같은 신용도가 높은 국가의 국채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이는 해당 국가의 부도 위험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크게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금융위기 동안 전 세계적으로 신용 위험이 급등하면서 가산금리도 급격히 상승했다. 당시 금융 기관과 기업들의 신용도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은행 간 대출 시장에서조차 가산금리가 크게 증가했으며, 이는 자금 조달 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원인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의 채권 발행

한국의 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할 때도 가산금리가 적용된다.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신용등급 차이에 따라 가산금리 차이가 큽니다. 신용등급이 우량한 대기업은 낮은 가산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지만,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산금리를 적용받는다.

▲미국 국채와 신흥국 국채 비교

미국 국채는 글로벌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여겨져 낮은 가산금리가 적용된다.

반면, 신흥국들의 국채는 정치적 불안정성, 환율 리스크, 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더 높은 가산금리를 요구받는다. 예를 들어, 2020년대 초반 베네수엘라나 아르헨티나 같은 국가들은 재정 상황 악화로 인해 매우 높은 가산금리로 자금을 조달해야 했다.

가산금리는 대출이나 채권 발행 시 적용되는 추가 금리로, 차입자의 신용 위험을 반영한다. 신용도, 시장 상황, 국가 리스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경제적 불안정 시기나 신용위험이 큰 경우에는 가산금리가 높아진다. 이는 자금 조달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가산금리는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Source: Conversation with chatGPT]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0348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