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전국 주택경기전망 4.6p 하락, 수도권-비수도권 양극화 심화

-10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81.6 전월 대비 4.6p 하락

10월 수도권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가 소폭 상승했지만, 비수도권 지수는 하락하면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0월 전국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는 전달보다 4.6p 하락한 81.6으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이 수치가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100을 밑돌면 그 반대라는 것을 각각 의미한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1.3p 상승한 107.4를 기록했지만, 비수도권은 대부분 지역의 지수가 하락하면서 5.9p 내린 76.0으로 전망됐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지역의 지수가 전월 대비 8.0p상승하면서 110.5를 기록했고, 인천은 석 달 연속 변동 없이 기준선(100)을 유지했다.

서울의 지수는 전달보다 4.0p 하락하긴 했지만, 111.9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주산연은 수도권의 경우 "수요에 비해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서울과 그 인접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미국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등이 사업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비수도권에서는 5.9p 하락한 76.0으로 전망됐다.

광역시 지역은 모두 하락해 평균 8.9p 떨어졌으며 도지역은 평균 3.6p 내렸다.

대전 17.7p(100.0→82.3)을 비롯해 대구 17.6p(95.8→78.2), 광주 11.1p(66.6→55.5), 부산 4.9p 80.9→76.0), 울산 1.9p(89.4→87.5), 세종 0.4p(93.7→93.3) 등 6개 광역시의 지수가 모두 하락했다. 특히 광주의 지수는 60선에도 미치지 못했다.

8개 도 지역의 경우 경남(66.6→73.3), 경북(73.3→78.5), 충남(80.0→84..6)을 제외한 전 지역이 하락했다.

강원(100.0→80.0), 충북(72.7→60.0), 전북(83.3→76.9), 제주(76.4→72.2), 전남(68.7→66.6) 순으로 하락 폭이 컸다.

부동산
[연합뉴스 제공]

스트레스 DSR 2단계 규제 등 대출 규제 강화와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 등이 시장에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비수도권의 주택가격 회복세도 더딤에 따라 사업자들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대전은 지역 경제 침체와 아울러 지역 내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에 따르면 대전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인구 순유출도 올해 4월부터 증가세에 있어 사업자들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경남은 아파트 매매가격 감소폭이 둔화되고 있으며 준공후 미분양 물량 또한 올해 5월부터 감소세에 있다. 이와 더불어 지난달 급격한 지수 하락에 대한 기저효과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0월 전국 자재수급지수는 전월 대비 2.1p 하락한 91.6을 기록했고, 자금조달지수는 85.2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자재수급지수가 전월 대비 하락한 배경에는 여전히 자재가격이 높고 공급 불안정 요인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요 감소에도 시멘트를 비롯한 자잿값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데다, 신규 채취원의 감소 및 수급 제한 규제 등으로 골재 공급 여건이 악화하면서 자재수급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PF 대주단의 감독 하에 부실 사업장 정리가 진행되고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사업자들은 2금융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 및 신규 대출 제한으로 인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주택시장은 일부 인기 지역을 제외하고는 침체가 지속되고 있어 자금조달지수는 여전히 기준선 이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