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지난해 기업 3곳 중 1곳 영업익으로 이자도 못 갚아

지난해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내지 못하는 기업 비중이 2013년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며 매출액 증가율과 영업이익률이 동반 둔화했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8년 기업경영분석(속보)'을 보면 2018년 전체 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4.2%로 전년(9.9%)보다 5.7%포인트 낮아졌다.

대기업 매출액 증가율은 2017년 9.5%에서 작년 4.3%로, 중소기업은 11.3%에서 3.9%로 둔화했다. 중소기업의 매출 증가율이 더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매출액 증가율(9.8%→4.5%)과, 비제조업(9.9%→3.8%)이 모두 줄어들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등에서 수출 증가 폭이 축소하며 전자·영상·통신장비 매출액 증가율이 2017년 19.9%에서 지난해 3.1%로 큰 폭 하락했다.

공급과잉 우려에 디스플레이업체의 신규투자가 줄고 발전 플랜트 수주가 감소한 영향에 기타기계·장비(18.6%→-2.9%) 매출액은 감소로 전환했다. 금속제품 가격 상승세가 줄며 1차금속(15.1%→3.1%)도 증가율이 낮아졌다.

이외에도 건설(11.7%→-1.2%)이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이마트나 롯데마트 등 대형 할인점 매출이 부진한 데다 수입 자동차 판매액이 둔화하며 도매·소매(10.1%→5.2%)에서도 성장세가 낮아졌다.

매출액 증가세가 둔화하다 보니 전체 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은 6.9%로 전년 7.3%보다 소폭 하락했다.

대기업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7.1%, 중소기업은 5.9%로 모두 0.5%포인트씩 악화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2017년 8.4%에서 작년 8.1%로, 비제조업은 6.0%에서 5.3%로 하락했다. 다만 제조업 중에서 전자·영상·통신장비 영업이익률은 15.9%에서 18.6%로 크게 개선했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들의 성장성이 많이 둔화했으나 수익성이 낮은 편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갚지 못하는 기업들의 비율은 올랐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 비중(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은 32.3%로 2013년 통계작성 시작 이후 가장 높았다.

전체 기업들의 이자보상비율은 588.4%였다. 영업적자를 기록한 기업 비중은 22.1%로 전년(19.6%)보다 상승했다.

안정성 지표를 보면 기업들의 부채비율은 91.5%로 1년 전보다 4.2%포인트 하락하며 역대 최저였다.

제조업 부채비율은 67.1%에서 63.9%로, 비제조업은 141.3%에서 136.1%로 개선했다. 부채비율이 0% 미만인 자본잠식상태 기업의 비중은 7.9%로 전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전체 산업의 차입금의존도는 25.6%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외감기업 업체당 평균 순 현금 흐름은 2017년 6억원 순유입에서 작년 3억원 순유출로 전환했다. 영업활동에서 벌어들인 현금수입으로 단기차입금, 이자 비용을 어느 정도 부담할 수 있을지 나타내는 현금흐름보상비율은 59.7%에서 56.0%로 악화했다.

rldj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