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1%대 신용대출 금리 사라진다…총량 조절 나선 은행권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신용대출이 잠재적 금융 위험 요소로 지목되면서 은행권이 대출총량과 속도 조절에 나섰다.

은행권은 우대금리 폭을 줄이고 전체 신용대출 금리를 높였다. 최고 200%에 이르던 일부 전문직의 연 소득 대비 신용대출 한도도 대폭 조정하기로 했다.

▲1%대 신용대출 금리 사라진다

16일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율적 신용대출 관리 방안으로서 우선 우대금리 하향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1.85∼3.75%(각 은행 신용대출 대표상품 기준) 수준이다.

각 은행에서 최저 금리로 돈을 빌리려면 우대금리(금리할인) 혜택을 최대한 받아야 하는데, 우대금리는 해당 은행 계좌나 계열 카드 이용 실적, 금융상품 가입 유무 등 여러 부가 조건에 따라 부여된다.

이에 1%대 신용대출 금리가 사라질 수 있다. 지난 10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1.85∼3.75%(각 은행 신용대출 대표상품 기준) 수준이다. 한 시중은행은 이미 우대금리 할인 폭을 0.2%포인트 줄였다.

우대금리 폭을 줄여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지금보다 높이면 대출 증가 속도를 어느 정도 늦출 수 있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대출

▲특수직 신용대출 한도 하향

특수직(의사·변호사 등 전문직 포함) 등에 대한 신용대출 한도도 낮출 전망이다.

은행권의 신용대출은 보통 연 소득의 100∼150% 범위에서 이뤄지지만, 특수직 등은 현재 은행에서 많게는 연 소득의 200%까지 빌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게 은행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연봉이 1억5천만원이라면, 담보 없이 신용대출로만 끌어 쓸 수 있는 돈이 3억원에 이른다는 얘기다. 2, 3억에 이르는 신용대출은 '투자 수요'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감독원도 지난 14일 시중은행 부은행장(여신담당 그룹장급)들과의 화상회의에서 "최고 200%에 이르는 신용대출 소득 대비 한도가 너무 많은 것 아니냐"는 의견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권은 이를 서민의 생활자금 성격의 신용대출까지 조일 수 없으니 낮은 금리로 수억원씩 빌리는 전문직의 신용대출부터 줄이라는 신호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은행의 수익성 측면에서도 신용대출 금리 인상과 한도 축소는 동시에 실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은행권의 시각이다.

5대시중은행 신용대출 추이

 ▲ 금통위원, "신용대출, 금융 위험요인…감시 지표 개발 필요“

지난달 27일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다수 위원은 최근 급증하는 신용대출의 위험을 경고하면서 관련 자금 흐름을 선제적으로 파악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한은이 15일 홈페이지에 공개한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8월 27일 회의에서 한 위원은 "신용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은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가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냐"고 한은에 물었다.

이에 한은 관련 부서는 "여타 대출에 비해 신용대출의 지표금리가 크게 하락, 차주(돈 빌리는 사람)의 금리 부담이 완화된 점이 신용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아울러 공급 측면에서 은행이 주택 관련 대출 태도를 강화한 반면, 고신용·고소득 차주들의 신용대출에는 상대적으로 완화적 대출 태도를 유지하는 점도 요인"이라고 답했다.

다른 위원은 "신용대출의 급격한 확대를 주택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일종의 '풍선효과'로 볼 수 있냐"고 질의했고, 한은은 "신용대출의 구체적 목적과 사용처를 파악하기 어렵지만, 여러 정황으로 추정하면 주택 관련 자금 수요가 신용대출 증가의 주요 배경 중 하나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해당 위원은 "과거 개인들이 롤오버(만기연장) 리스크에 직면하면서 신용카드 사태가 불거졌다"며 "신용대출 규모가 전체 가계대출보다 작지만, 만기가 통상 1년 내외로 짧다는 점에서 금융안정 측면의 또 다른 리스크 요인인 만큼 경각심을 갖고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