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정부관계자 “北조문단은 사설 조문단”

정부 관계자는 20일 북한이 한국 정부당국을 배제한 채 고(故)김대중 전 대통령측에 조문단 파견을 통보한 것과 관련, "아직은 북한 쪽에서 우리(정부당국)에 연락한 바 없다"며 "쉽게 말하면 사설 조문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와 아태재단이 이야기해서 조문을 오겠다고 했는데 엄밀히 말하면 정부당국에서 이렇게 저렇게 하겠다고 한 게 없다"며 "통민봉관(通民封官)이라는 말도 많이 쓰던데 글자 그대로 현재로서는 사설 조문단"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북한이 우리 정부당국과는 협의하지 않고 김대중평화센터에 통지문을 보내 조문단 파견 계획을 통보한데 대해 우리 정부가 김 전 대통령의 국장이 고인의 뜻을 받들어 통합의 장이 돼야 한다는 취지에서 수용하면서도 내심 불편한 심기를 내비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 일부 보수진영에서 국장 결정에 대해 원칙과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는 데 대해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항상 찬반이 엇갈리기 마련이고 100% 찬성 여론은 있을 수 없지 않느냐"면서 "(정부) 실무선에서 난색도 표하고 했지만 이명박 대통령이 대국적 견지에서 (국장을) 수용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정치.사회적 사안에서 70%의 동의를 얻는다는 것도 얼마나 어려운 일이냐"며 "비판은 비판대로 겸허하게 듣겠지만 전체적으로 잘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지 않느냐. 성숙하게 이해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