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부터 과학고 교육과정이 세분화되고, 졸업학점제가 도입되는 등 전면 개편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11년부터 도입되는 과학고 입학사정관 전형을 앞두고 '과학고등학교 발전방안'을 마련, 개편하기로 했다고 31일 발표했다.
발전방안에 따르면 과학고 교육과정은 일반과정-전문과정-심화과정 등으로 세분화된다.
일반과정은 일반고교 1~2학년 수준의 기초역량과 교양을 쌓기 위한 수업 내용으로 구성되며, 전문과정은 연구와 실험, 탐구 위주의 교육과정을 다룬다.
또 심화과정에서는 AP(Advanced Placement. 대학과목선이수제) 등 대학 연계 프로그램과 수준별 심화학습, 대학 수준의 교과 프로그램 등이 운영된다.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과 희망에 따라 원하는 과정과 과목을 선택해 들을 수 있으며, 교과부는 이를 위해 졸업학점제 도입을 검토 중에 있다.
또 학교별 여건과 특성에 맞게 특화과정도 개발된다. 지역사회 연구단지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와 지역적 특성에 맞는 생태학습, 해양 연구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과학고 교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실험탐구 지도와 연구수행 등에 대한 전문연수를 실시하고, 우수교원에 대해서는 5년 근무 후 6개월~1년 심화연수나 안식 뒤 다시 5년간 근무하는 '5-5년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 밖에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와 수과학 전공 원어민 등을 채용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과학고 교사와 학생들의 연구활동을 확대하기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인턴쉽 형태로 참여하게 하고, 과학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 과학창의 학술지' 등을 발간할 예정이다.
아울러 과학고와 대학이 상설 협의체를 구성하거나 자매결연을 해 AP운영, 방문공동 연구 사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