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마산·진해 등 3개시가 내년 통합시로서 출범할 계획인 가운데 행정안전부는 이 지역내 총생산(GRDP)가 22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창원시의회는 11일 '창원ㆍ마산ㆍ진해시 통합안' 관련 찬반투표를 실시, 찬성 15표, 반대 14표로 통합찬성을 의결했다. 앞서 마산시의회와 진해시의회도 지난 7일 각각 투표를 진행해 3개시 통합에 찬성하기로 의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인구 108만1182명,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최대규모의 도시가 출범하게 됐다.
행안부는 "GRDP도 21조 7천639억 원으로 전국 시·군 중 1위로 도약하게 된다"며 "통합시의 연간 수출액도 290억달러로 경북 구미시(331억원)에 이어 2위로 올라서게 된다"고 전망했다.
또 행안부는 앞으로 10년간 재정절감액 7천620억원, 정부 인센티브 2천369억원 등 통합 효과가 9천989억에 달하고 생산유발 및 고용유발 규모도 각 1조1천913억8천200만원, 1만3천543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통합시는 인구가 100만명을 넘어섬에 따라 행안부가 최근 입법예고한 '지방자치단체간 자율통합에 따른 행정특례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 지역개발채권 발행권과 21층 이상 건축물에 대한 건축허가권을 보유하게 된다.
행안부는 통합시에 부여할 행정·재정적 특례를 담은 '행정특례 등에 관한 법률안을 이달 3일 입법예고했으며 국회 심의를 거쳐 내년 7월 통합시가 출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 이달 말까지 마산·창원·진해시 의회 의원 동수로 구성되는 통합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통합시 명칭, 청사 소재지, 지역발전 방안, 지원재원 활용방안 등 사항을 차질없이 협의·조정하도록 돕는다.
행안부에 따르면 창원·마산·진해 등 통합시에 지원될 재정 인센티브는 ▲10년간 추가교부될 보통교부세 2104억원 ▲5년간 지급될 통합이전 교부세 115억원 ▲3개시에 특별교부세 명목으로 각각 50억원씩 총 150억원 등 총 2369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한편, 행안부는 관계 부처 및 통합대상 자치단체 간 긴밀한 협조를 통해 새로 출발하는 통합시를 '명품 성장거점도시'로 육성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