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은행연합회가 새로운 대출기준금리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발표함에 따라 대출 갈아타기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에 업계에서는 기존 대출자들에게 자신의 가산금리 수준을 체크하고, 신규대출자는 향후 금리인상 전망에 따라 양도성예금증서(CD)연동, 코픽스 연동 대출상품 중에서 더 유리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은행연합회는 16일 주택담보대출 금리체계인 코픽스 기준금리가 잔액기준은 4.11%, 신규 취급액 기준은 3.88%로 각각 확정됐다고 처음으로 공시했다.
코픽스는 국내 9개 은행(농협중앙회, 신한은행, 우리은행, SC제일은행, 하나은행, 중소기업은행, 국민은행, 한국외환은행, 한국씨티은행)의 여러 자금조달상품에 적용되는 금리를 이용해 산출된 대출금리다. 은행연합회는 "CD금리 등 기타 시장금리에 비해 은행의 자금조달비용을 보다 충실히 반영함으로써 합리적인 금리 결정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처음 공시된 코픽스는 연초에 고금리 특판예금이 몰리면서 은행들의 조달금리가 높아짐에 따라 당초 예상치 보다 다소 높게 나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르면 17일부터 코픽스 연동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던 은행들은 가산금리 폭을 조정하고, 출시일을 늦추는 분위기다. 대부분 은행은 2월 하순에서 3월 초순 경에 코픽스 연동상품을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코픽스 기준 금리는 현재 2.88%인 CD금리보다 높은 상태로, 은행들이 가산금리 폭을 조정할 수 있어 전체 대출금리는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장기적으로 코픽스 기준금리로 옮기는 추세라 이를 유도하고자 은행들의 코픽스연동 상품금리는 CD연동 상품 보다 0.1%~0.2%포인트 낮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SC제일은행은 코픽스 연동 주택대출 '뉴퍼스트홈론'을 출시, 기존 CD금리 연동 대출상품보다 0.1%포인트 낮은 금리를 적용한다.
갈아타기를 고려하는 기존대출자는 자신의 대출상품 금리를 체크, 가산금리가 3%포인트 내외로 높은 수준이라면 갈아타는 것을 고려할 만하다. 금융위기 이후 CD금리가 급락하자 은행들이 수익보전을 위해 높은 가산금리를 적용했기 때문에 이때 대출을 받은 사람들을 말한다.
이와 관련, 은행들은 코픽스연동 대출 출시와 함께 기존의 주택담보대출을 코픽스연동 대출로 전환하길 원하는 고객에 대해서 6개월간 1회에 한하여 별도의 비용부담 없이 전환을 허용할 계획이다.
다만, 법률적으로 전환이 제한된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되며, 구체적인 전환범위 및 절차는 각 은행별로 결정되므로 전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거래은행에 문의가 필요하다.
신규대출자의 경우 앞으로의 금리 전망을 살피는 게 좋다. CD연동 대출은 금리 변동 주기가 3개월이지만, 코픽스 연동 대출은 6개월, 12개월까지 적용돼 변동성이 적기 때문에 금리 인상기에 안정적일 수 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올해내에는 거의 확실한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가입자들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코픽스연동 대출 상품을 결정한 경우에는 잔액기준, 신규취급액 기준 중에서 금리를 선택해야 한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잔액기준 코픽스는 CD금리 등 시장금리에 비해 변동성이 작으며,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는 월중 신규 조달자금을 대상으로 산출되므로 잔액기준 코픽스에 비해 시장금리의 변동을 신속히 반영하는 특징이 있다.
은행연합회 측은 "은행에서 코픽스를 기준금리로 사용하는 방식은 잔액기준 방식, 신규취급액기준 방식, 잔액기준과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를 혼합하는 방식이 있다"며 "은행별로 상기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다양하게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따라서 대출고객들은 은행으로부터 코픽스를 비롯한 각종 기준금리의 특징에 대해 설명을 충분히 들은 후 본인에게 적합한 대출상품을 선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